민주노총이 정부의 비정규직법안 추진에
반발해 26일 오전 10시부터 6시간 시한부 총파업을 벌였다.
민주노총은 여당이 비정규직법안 처리 전에 충분한 대화를 하겠다며 연내 처리
유보를 시사해 당초 예고했던 '무기한' 총파업에서 '시한부'로 방침을 바꿨다.
민주노총은 이날 현대차, 기아차 등 금속산업연맹과 화학섬유연맹, 민주택시 등
전국 398개 사업장에서 15만7천37명이 파업을 벌였고 5만3천498명은 집회나 총회 등
형태로 참가한 것으로 집계했다.
이와 함께 노동부는 이날 오전 50개 사업장에서 7만8천여명이 파업에 참가했으
며 교대근무 사업장의 비번 참가자를 빼면 6만여명이 파업을 벌인 것으로 집계했다.
이어 오후 들어서도 60∼70개 소규모 사업장에서 1만4천∼1만5천명이 파업에 동
참해 전날 예상한 9만2천명선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각 사업장에서 단위 노조별 출정식을 갖고 파업에 들어간
데 이어 오후에는 서울 여의도 등에서 산하 연맹별로 비정규 법안 폐기를 비롯한 5
대 요구사항을 걸고 집회를 연 뒤 거리행진을 벌일 계획이다.
비정규직 단체 대표 4명은 이날 정오 국회내 국회도서관 증축공사 현장의 타워
크레인에서 무기한 고공 농성을 벌이고 있다.
또한 현대차와 기아차는 이날 파업으로 6시간동안 조업을 중단하는 등 사업장
곳곳에서 생산 차질이 빚어졌다.
정부는 민주노총의 이날 시한부 총파업을 정치적 목적의 불법파업이라고 규정,
파업 주동자와 적극 가담자에 대한 엄정 대응방침을 밝혀 양측간 충돌이 예상된다.
민주노총 측은 "정부의 비정규직법안 입법 추진을 저지하기 위해 경고성 한시파
업에 들어갔다"면서 "이같은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태도를 바꾸지 않을
경우 29일 투쟁본부대표자회의를 통해 다음달 2일 재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