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족이 추진 배경…교직원 감축등 걸림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도권을 비롯한 다른 지역에서 대학간 통폐합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김달웅 경북대총장의 경북대와 대구대 통합제안은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대구·경북 대학가에 상당한 파장을 낳고 있다.
김 총장의 이 같은 전격적 제안은 한때 한강 이남 최고명문의 자리를 누렸던 경북대의 위기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지금까지 경북대는 강원 일부와 경북 북부권, 서부 경남, 울산지역에서 학생재원을 상당수 충당해 왔으나 앞으로도 이런 현상이 계속될지는 미지수인 상황인 만큼 통합의 필요성이 절실했던 것이란 견해다.
현재 추진중인 충청지역의 충남대와 충북대가 통합될 경우 경북대의 1.7배, 서부 경남에서 경상대와 창원대가 합치면 1.1배 규모가 된다.
또 인구 110만명인 울산시에도 국립대 설립이 예정돼 있다.
경상대와 창원대의 경우 벌써 대학본부와 단과대의 위치를 논의하는 과정에까지 이르렀다
이처럼 대구를 둘러싸고 3개의 거대 국립대학이 출범할 경우 경북대의 위상변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따라서 경북대는 안동대, 금오공대, 상주대 등 대구·경북 국공립대와 통합논의가 지지부진하고 타 지역에서 대학통합 논의가 가시적인 성과를 낳고 있는 상황에서 경북대의 새로운 활로를 찾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미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가 통합한 부경대의 등장에서 보듯 부산지역 다른 대학들의 위상이 크게 위축된 전례가 있다.
경북대 김달웅 총장은 "지역 대학들간 통폐합에 대한 압력이 정부는 물론 지역 안팍에서 밀려올 것이기 때문에 대구·경북지역의 대표 대학인 경북대가 국공립간은 물론 사립대와의 통합논의도 주도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북대와 대구대가 통합으로 이르기까지는 넘어야 할 난관이 많다.
경북대 2만명, 대구대 2만5천명의 정원을 3만명 선으로 줄여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두 학교 교수와 교직원들의 반발도 예상된다.
또 옛 재단이 존재하고 있는 대구대의 경우 재단 측의 반발을 무마하는 것도 과제다.
이춘수기자 zap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