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부정행위 수사, 대구·경북도 한다

입력 2004-11-22 13:31:20

수능 부정행위가 광주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이뤄졌을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경찰이 수사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있다.

대구경찰청과 경북경찰청은 광주지역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조직적인 부정행위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된 직후부터 관련 인터넷사이트 검색 및 수험생을 통한 탐문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으로부터 부정행위 관련 수사에 착수하라는 지시를 받고 일단 첩보 수집을 벌이고 있다"며 "우선 광주와 같은 사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군·구교육청 홈페이지의 게시판이나 자유발언대 등의 내용을 조사하고 있으며, 수험생을 상대로 광범위한 탐문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수능 당일 고사장 인근에서 동시다발적인 문자메시지 전송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지만 구체적인 정황증거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통신수사와 관련된 영장을 발부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로서는 광주와 같은 사례는 비슷한 첩보조차 나오지 않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이번 부정행위의 도구로 사용된 명의도용 휴대전화인 일명 '대포폰'의 경우 인터넷이나 통신업체 주문을 통해 얼마든지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 구분없이 이런 부정행위가 저질러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대구시와 경북도교육청도 학교 및 학생들을 상대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등 지역에서의 수능 부정행위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수용기자 ksy@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