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내년은 대중교통개혁 원년"

입력 2004-11-19 13:02:29

대구시는 2005년을 '대중교통 개혁 원년의 해'로 정하고 노선체계 및 운영, 요금 체계 개편 등을 주요 내용으로 시내버스 체계를 획기적 개편키로 했다.

시는 19일 오후 시청 상황실에서 내년 10월 시행예정인 시내버스 준공영제 추진 방향에 대한 주요시책 보고회를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시는 우선 내년 9월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대비, 시내버스와의 중복노선 조정 및 연계 등 노선체계를 개편하고 생활권과 연계하는 순환노선 등 간·지선 체계 정비, 대중교통 수단 간의 효율적인 환승체계 도입, 시내버스안전정보체계 구축 등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또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활용도 제고 실행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 증대 및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 방안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준공영제 도입과 관련, 경영 안정성 및 효율성을 유도하기 위해 '수입금 공동관리제'를 실시, 운행 실적에 따른 수입금 배분, 서비스평가 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및 패널티 부여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방침. 또 시내버스 운송수입금 등의 투명성 확보, 표준운송원가 산정의 수익구조 개선, 시내버스업체 표준경영모델 개발 등의 시책도 계획하고 있다.

시내버스 경영합리화 용역 및 운송수입금 조사 등 투명하고 합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준공영제 시행시 시비 지원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한다.

또 대중교통 이용자 수요 창출을 위해 버스-지하철 간 통합 요금제와 대중교통수단간 환승할인 및 무료제 도입을 추진하는 등 시민들의 경제적 부담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요금체계를 개선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시는 특히 효율적인 준공영제 시행을 위해 시내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을 구축, 시내버스 대당 운송원가 산정, 버스 배차간격 관리, 불법운행 감독에 나설 방침이다.

시는 이외에도 버스운행 수입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교통카드 이용률을 현재 43.2%에서 95% 이상 확대하고, 도로공간의 비효율적 배분 해소 및 교통기반시설의 공급한계 극복, 자동차 증가에 따른 물류비 및 교통혼잡 비용 증가 해결방안 마련, 도시 환경 오염 저감 등 교통분야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보완할 계획이다.

대구시 버스개혁기획단 관계자는 "도로 및 지하철 건설시 각각 km당 200억~300억원, 800억원 등 막대한 교통기반시설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시내버스 중심의 대중교통 우선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