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를 받기위해 지역 모대학병원에서 오랫동안 근무하셨던 분이 있는 동네의원을 찾았다. 그 의사는 문진과 간단한 검사 후 종합병원에 가서 MRI를 찍어보라고 권했다. 집에서 가까운 2차 진료기관(종합병원)에 가서 선택진료를 하고 MRI를 촬영했다. 2차 진료기관의 의사선생님께서는 3차 진료기관에 가서 정확한 판정을 받으라고 모 병원의 의사선생님 앞으로 소견서를 써주었다. 그 분이 한강이남의 유일한 권위자란 말까지 덧붙였다. 다시 3차 진료기관(대학병원)에 가서 접수했더니 선택진료를 하지않으면 그 의사선생님의 진료를 받을 수 없다고 했다. 황당했다. 몇 분의 의사선생님이 진료하는데 내 차트를 그분 방으로 배당하면 간단하게 해결될텐데 말이다.
참 웃기는 제도다. 2차 진료기관에서 선택진료를 않으면 수련의나 전문성이 부족한 의사가 진료할 수도 있고, 2차 진료기관의 담당과장이 소견서까지 첨부한 환자도 선택진료를 신청하지 않으면 3차 의료기관의 수련의나 그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의사가 진료를 한다는 말이다.
더욱이 '이 환자는 이러저러한 병이 의심되니 아무개 선생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라는 소견서까지 첨부한 환자에게까지 선택진료비를 받는다는 게 말이나 될 법인가.
선택진료비제도가 병원 수입올리기의 한 방편이 아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라는 본래의 목적에 충실해지도록 제도개선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신복수(대구시 신서동)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