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밑바닥 景氣' 제대로 읽었나

입력 2004-09-29 11:28:22

발걸음은 무겁고, 선물 보따리는 한없이 가벼웠던 귀성길이었다.

이미 열린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가 추석을 앞두고 재래 시장을 찾았다가 상인들로부터 "돌아가서 정치나 잘하라"는 원성을 들었다.

뿐만 아니다.

사람으로 꽉 찬 고향 열차인데 짐칸은 텅텅 비어 있는 한 장의 사진, 그리고 그 속에 박혀 있는 무표정한 얼굴들, 이것이 바로 우리 경제의 현주소임을 새삼 확인한 '우울한 한가위'였다.

그러다 보니 고향에서도 덕담보다는 앞날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더 높았다.

이헌재 부총리가 민심을 달래기 위해 "정부는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국민 여러분의 질책을 잘 알고 있다"며 "다음 추석에는 국민 모두가 더 큰 선물 꾸러미를 들고 고향을 찾으며 올해의 어려웠던 살림을 추억처럼 이야기할 수 있게 하겠다"는 서한을 귀성객들에 배포했지만 명절용 인사 치레(?)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사실을 국민은 잘 알고 있다.

어쨌든 '경제가 역시 최우선'임을 다시 한번 절감한 한가위였다.

안타까운 것은 내년 경제도 결코 순탄치 않을 것이란 점이다.

당장 국제 유가가 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28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 서부텍사스 중질유 가격이 49.90달러로 장을 마쳤다.

장중 한때 배럴당 50.47달러까지 치솟았으니 이제 '60달러 시대'를 걱정해야 할 형편이다.

이러니 집안 식구들이 모인 곳이면 온통 취업 걱정이다.

'5%대 성장과 3%대 실업률'을 달성하겠다는 정부의 발표가 귀에 들어올 리 없다.

이제 정부는 추석 민심을 제대로 읽었을 것이다.

국민은 '경제를 우선적으로 챙기겠다'는 구호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앞으로는 철저하게 행동으로 이를 증명해주기 바란다.

그것이 바로 한가위를 맞은 국민의 소박한 소원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