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밀려도 설레는' 한가위

입력 2004-09-25 10:53:39

한가위는 농경사회 때 추수 감사의 의미가 깃들어 있는 명절이었다.

땀 흘려 지은 농사의 결실을 거두면서 자연과 자신을 있게 해준 조상에게 감사하는 축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업사회 이후에는 '만남의 마당'으로 바뀌었다.

이젠 실컷 먹어보겠다고 벼르는 사람도, 이 명절 빔을 특별히 장만하는 사람도 거의 없어졌다.

그런데도 마음이 설레고 손끝이 바빠지는 건 '왜'일까. 바로 '만남' 때문이다.

가족이든 민족이든 만나야 한다.

형제도 친척도 안 만나면 '이웃 사촌'보다 못해지게 마련이다.

▲오늘날 민족 대이동의 한가위 풍속도는 도시로 떠밀려 나갔던 우리의 특이한 현상으로 기록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도시에서 태어나 핵가족으로 자란 세대들은 또 어떤 변화를 가져오게 될까. 지금보다 더욱 정에 굶주리게 될 건 뻔하므로 끈끈한 정이 삶의 중요한 버팀목으로 요구돼 되레 더 큰 의미를 가지게 되고, 그래야만 하지 않을는지….

▲한가위의 민족 대이동이 시작됐다.

서두르는 사람들은 이미 어제 귀성길에 오르고, 오늘부터는 그 행렬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꽉 막힌 정치, 치솟는 유가와 곤두박질하는 경기, 계층 간의 소득 격차에 따른 위화감과 박탈감…. 어디를 둘러봐도 무겁고 어두운 현실이지만, 한가위는 언제부터인가 '만남의 마당'으로 그 성격이 바뀌었기 때문일 게다.

▲'빈익빈 부익부'의 골이 날로 깊어지는 세태지만,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는 말이 지금 더 절실해지는 까닭도 어디에 있는가. 가지지 못하고 힘없는 사람들에게 당연히 배려돼야 하고, 그 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한가위에 아무리 밀려도 이어지는 귀성 행렬의 의미는 무엇인가. 평소 흩어졌던 가족이 모이듯이 이번 한가위는 온 국민의 마음이 따뜻하게 하나가 되는 계기가 돼야 한다.

▲조상과 어른을 받드는 마음, 가족을 위하는 마음, 옛 지기들은 반기는 마음은 한가위의 최대 미덕이 아닐 수 없다.

고향은 바로 그런 마음을 넉넉하게 풀어놓을 수 있는 안식처요, 영원한 품안임에 틀림없다.

여러 가지로 어려운 가운데 맞이하는 이번 한가위는 막히는 길에서도 마음만은 넉넉하고, 쓸쓸한 이웃과 남을 배려함으로써 '정'과 '상생'의 미덕이 한결 풍요로워지는 명절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이태수 논설실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