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포항의 R&D특구

입력 2004-09-21 09:03:54

R&D특구법이 대전(대덕)만의 특별법이 아니라 일반법으로 제정될 경우, 대구와 포항의 R&D 특구는 어떤 모습이 될까.

이미 R&D 기반을 갖추고 있는 포항은 분명한 계획을 밝히고 있다.

포항공대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방사광가속기, 주거단지, 교육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지곡단지(180만평)를 핵심지역으로 하고, 포항테크노파크 2단지(87만평) 및 영일만신항 배후단지(180만평)를 포함한 3개 지역 447만평을 R&D특구로 한다는 계획이다.

포항테크노파크 2단지는 주거, 교육, 의료, 문화 등이 결합된 복합 생태단지로 개발하고, 특히 외국인 전용 주거단지를 조성해 외국R&D센터를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영일만신항 배후단지는 지곡단지에서 개발된 연구결과를 산업화 할 수 있도록 첨단소재산업집적지로 개발한다.

포항 R&D특구는 '나노전자소재' '바이오·의료소재' '철강신소재' '에너지소재' 등 4개 분야의 R&D에 집중할 예정이다.

반면 대구 R&D특구의 모습은 아직 모호하다.

R&D특구법(일반법)에 의해 특구지정에 필요한 조건이 제시되면, 그 조건에 맞추어 R&D특구를 개발할 계획이다.

유력한 대구 R&D특구 후보지역은 대구테크노폴리스를 추진 중인 달성 현풍·대구시의 구상대로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과 경북대 이공계 대학, 산업기술대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설 디스플레이연구소, 낙동강환경연구소, 국제멀티미디어센터 등이 현풍 테크노폴리스에 들어설 경우, R&D특구로 육성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대경과기연의 설립주체는 정부(과기부)와 대구시, 경북도 3자이기 때문에 대구시의 의지대로 입지를 선정하기가 쉽지 않고, "정치적 논의보다는 전문가와 전문 용역기관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 또한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더욱이 나머지 설립 또는 이전 예정 기관들은 대구시 용역수행기관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구상으로 제시되어 있을 뿐, 정부 해당부처나 각 해당기관들과는 실무협의조차 없었다.

대구 R&D특구로 지정되더라도 상당한 기간이 필요한 셈이다.

이 때문에 대경과기연의 설립 및 운영 방향에 따라 대구 R&D특구의 모습도 예상과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