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위생매립장 쓰레기반입 중단사태가 서재주민들이 15일 오후3시 자진해산함에 따라 일단락돼 우려했던 쓰레기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서재주민들은 아직도 매립장확장에 반대, 여전히 불씨를 남겨놓은 상태이며 대구시의 쓰레기 행정에 적잖은 문제점을 노출시켜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먼저 이번 집단행동에서 시와 주민들과의 대화부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주민들은 시가 주민의사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매립장 확장을 추진함에 따라 매립장 확장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 주민설명회까지 무산시킨데 이어 비상대책위원회까지 만들었으나 시는 기존 주민지원협의체의 실체만 인정'대화창구로 삼았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주민대표들은 결국 이날 오후 조해녕 대구시장과 면담으로 대화의 물꼬는 텄지만 집단행동 뒤 주민요구를 들어주는 것은 잘못이라 지적했다. 또 주민들이 요구한 '매립장 확장에 대한 주민설명회' 개최요구를 시가 뒤늦게 수용, 주민의견 수렴기회를 갖게 된 것도 시의 늑장행정 탓이라 말했다.
시 행정의 잘못과 함께 쓰레기 반입중단 사태는 시민의식의 결여도 한몫했다.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종량제 봉투사용이나 재활용품 분리수거 등을 시민들이 외면하면서 매립장 주변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온 것.
서재주민들이 종량제 봉투사용 및 분리수거를 지킨 쓰레기에 대해서는 매립을 찬성했으나 대구시내 500여대 청소차 가운데 단 1대도 '떳떳하게' 반입 못한 것은 시민들의 잘못된 의식을 그대로 방증했다는 것. 대구시 관계자들도 "종량제 봉투 사용이 50%를 밑돌고 있다고 실토했다.
실제 주민들이 매립장에서 쓰레기 내용물을 조사(성상조사)한 결과, 종량제 봉투를 쓰지 않은 쓰레기가 적잖았고 종량제 봉투의 쓰레기에서도 부탄카스통과 소주병, 음료수캔 등 재활용품들이 쏟아져 나왔다. 대구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는 하루에 2천600여t에 이른다.
쓰레기 문제는 이제 250만 대구시민들의 손에 달렸다. 시민 스스로 재활용품 분리수거와 종량제 봉투사용 등 성숙된 시민의식으로 문제해결에 나서야 할 때인 것이다.
박용우기자 yw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