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청.일 간도협약 체결

입력 2004-09-04 11:58:00

1909년 9월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청.일 양국 간에 '간도협약'이 체결되었다. 이로써 간도를 강점하고 있던 일본은 간도를 청에 넘겼고, 우리 땅으로 여겨졌던 간도가 청나라로 넘어갔다.

간도지방은 예부터 옥저를 비롯, 고구려와 발해 등의 발원지로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이었다. 그러나 청은 19세기 말부터 간도가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군대를 투입하고 지방관까지 두기 시작했다.

이에 우리나라도 그에 맞서 강력하게 영토권을 주장하면서 양국 간 간도영유권 문제가 계속되었다. 1900년에는 러시아가 다시 간도를 점령하면서 간도 영유권에 대해 한.청 간 분쟁이 재론되기도 했다.

하지만, 1905년 을사늑약을 통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당하면서 간도문제는 청.일 양국의 문제로 바뀌어져 버렸다. 이후 일제는 청나라와 간도문제와 관련한 교섭을 벌였다.

간도에 관리를 파견하고 '조선인은 청국의 재판에 복종치 말 것, 청국에서 반포하는 일체의 법령을 승인하지 말 것' 등 5개항의 훈령을 내리는 등 강경한 태도를 취했다.

그리고는 결국 간도협약을 체결함으로써 남만주철도 부설권과 푸순(撫順) 탄광 개발 등 4대 이권을 얻었던 것이다. 이로써 일본은 만주 침략을 위한 기지를 마련하는 동시에, 남만주에서의 이권을 장악하고, 한국인의 민족적 항쟁운동을 방해하는 공작을 하게 되었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가 불거진 가운데 이 협약은 무효라는 국회의원들의 결의가 있었다. 한.중간 간도분쟁의 추이가 사뭇 궁금해지는 시점이다.

▲1460년 신숙주, 여진 정벌 ▲1882년 뉴욕에 최초 점등 ▲1962년 증권시장 개장 ▲1971년 콩코드기 첫 대서양횡단 성공 ▲1978년 한국가스안전공사 설립

조문호기자 news119@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