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자체가 고대삼국 증거"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으로 우리 고대사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일연 스님의 '삼국유사(三國遺事)'를 통해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를 조망하는 학술대회가 열려 주목을 끈다.
일연학연구원(원장 상인 인각사 주지 스님)은 3일 오후 1시부터 군위군청 대회의실에서 '삼국유사 체제에 보이는 고대사 인식'을 주제로 세미나를 연다.
'삼국유사 내 주몽(朱蒙)의 출자기사(出自記事)를 통해본 국가계승의식'을 발표하는 김현숙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위원은 미리 보낸 논문에서 "고려시기에 고구려, 백제, 신라를 우리의 고대국가로 인식해 '삼국'의 역사를 정리했다는 것은 고려가 고구려를 비롯한 고대 삼국의 후계국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또 삼국유사에 고구려가 고조선과 부여 및 마한을 계승했다고 하는 기록이 실려 있는 것은 의미가 크다"며 "이는 고구려가 고조선과 부여를 연결하는 고리이고, 마한을 통해 통일신라와 발해-고려-조선으로 이어지는 한국사로 계승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움직일 수 없는 증거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해서도 김 연구위원은 논문을 통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현재적 필요에 의한 과거사 왜곡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중국 측의 주장은 논리적 근거가 부족한 억지"라고 질타했다.
이어 "학문적 측면에서 고구려사가 한국사라는 움직일 수 없는 근거를 찾아 논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면서 "고구려의 국가계승문제와 왕족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사료가 들어있어 고구려의 상황을 유추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삼국유사의 가치는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일연(一然)의 발해사 인식과 삼국유사'를 발표하는 박진숙 충남대 교수는 논문을 통해 "일연이 고구려 유민이 발해의 건국에 참여했다거나 대조영이 고구려의 옛 장수라는 사실을 담은 '삼국사'와 '신라고기'를 적극 인용한 것은, 중국사서에 보이지 않는 내용을 증거로 내세우면서 고구려 역사계승의식을 최대한 객관화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고 밝혔다.
또 "고려 후기에 새롭게 두각을 보인 발해사 인식은 국가의 존립과 관련한 역사의 재인식 작업 속에서 이뤄졌다"고 했다.
'삼국유사 고조선조에 보이는 고대사 인식'을 발표하는 송호정 한국교원대 교수는 "삼국유사에는 민족사의 자주성과 그 문화의 우위성을 강조하는 관념이 전편을 지배하고 있다"며 "국사(國史)의 시작을 단군의 고조선으로 잡아 중국 역사의 시조라는 요(堯)와 동시대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이를 또한 직접 천(天)에 연결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