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사 공공기관 통합 이전 발표
정부가 지역별로 '미래형 혁신도시'를 선정해 기능이 유사한 공공기관들을 묶음형으로 이전, 신행정수도 배후지역으로 건설한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지방도시들이 군침을 흘리면서 유치운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관련해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협의해 이전 △광역자치단체별 이전유치와 지역별 배분을 이전 원칙으로 하다가 지난 6월 미래형 혁신도시 건설을 통한 묶음형 공공기관 이전 등으로 방침을 바꿨다.
경북도 경우도 농업기반공사, 농산물유통공사 등 농업관련 기관을 묶음으로 유치해 상주지역에 '과학기술농업 혁신도시'를 조성하는 것을 비롯해 김천(국토관리), 구미(디지털전자.통신산업), 안동(정신문화), 포항(과학기술.에너지), 경주(관광.문화) 등 혁신도시 조성이 가능한 6개 후보지를 선정해 입지여건과 도시계획 등을 검토, 정부에 건의해 놓고 있다.
이에 따라 상주시는 그동안 한국도로공사와 농업기반공사 등 개별 공공기관 유치 노력이 공공기관 직원들의 지방이전 반대 분위기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오다 지역 각 기관'단체에서 참여하는 '공공기관 범 시민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미래형 혁신도시 지정'과 '묶음형 공공기관 이전 유치'에 뛰어들고 있다.
23일 유치위원회는 2차 실무위원회의를 열고 다음달 3일쯤 김대성 부시장을 비롯해 시'도의원 등이 건교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등 중앙부처를 방문, 4만7천여명의 주민들이 서명한 공공기관 유치 서명부를 전달하고 유치 당위성을 설명키로 했다.
유치위원회 관계자는 "경북도가 계획하고 있는 6곳의 혁신도시 후보지 중에서 신행정수도와의 접근성에서 상주가 가장 뛰어나 배후지역으로 적합하다"며 "다른 지자체와 달리 전 시민이 참여하는 유치운동을 통해 과학기술농업의 신도시로 반드시 지역을 탈바꿈시킬 것"이라고 했다.
구미시의회도 24일 총무위원회 간담회를 통해 유치위원회 중앙부처 방문과 별도로 시의회 차원에서 중앙정치권과 관계부처를 방문, 혁신도시 지정과 공공기관 유치에 힘을 보태기로 의견을 모았다.
상주.엄재진기자 2000j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