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해야 하는 役割도 달라진다.
스스로는 물론 社會的으로 要求하는 일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理解하고 配慮하는 마음 또한 키워가야 한다.
나이에 걸맞는 行動과 마음가짐에 대해 聖賢들은 多樣한 漢字語로 表現해왔다.
나이에 따라 달리 쓰이는 漢字語에 대해 알아보자.
△幼學=열 살까지를 幼學이라고 한다.
에 '사람은 태어나면 10년을 幼라 하고 그 동안에 배운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幼는 왼쪽의 ?(작을 요)와 오른쪽의 力(힘 력)을 합하여 '힘이 약하다'라는 데서 생겨났다.
△志學=15세를 志學이라고 한다.
에 '나는 열다섯에 배움에 뜻을 두었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破瓜=16세를 이르는 말이다.
흔히 二八靑春을 28이라고 알고 있는데, 二八은 八이 두 번 들어가 열여섯 살을 가리키는 말이다.
破瓜에서 瓜(과)라는 글자를 반으로 쪼개면(破) 八이 두 번 나오므로 더하면 열여섯 살이 된다.
그래서 二八靑春 16세를 破瓜라고 한다.
△弱冠=20세를 이르는 말이다.
弱은 원래 裝飾을 많이 붙인 儀禮用 활을 가리키던 글자로, 그런 활은 부드럽고 弱했기 때문에 弱하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요즘 20세가 되면 成人式을 치르는데 예전에는 이러한 成人式을 冠禮라고 하였다.
男子들은 冠을 썼고, 女子들은 비녀를 꽂았다.
그래서 女子들의 成人式은 禮라고 하였다.
△而立=30세를 이르는 말로 에 '서른 살이 되어 스스로 섰다(학문의 기초 확립)'라는 말에서 나왔다.
△不惑=40세를 이르는 말로 에 '마흔 살이 되면 迷惑되지 않는다'라는 말에서 나왔다.
△桑年=48세를 이르는 말로 桑(상)은 속자로 이라고 쓰는데 이 글자를 분리해 보면 十이 4개이고, 八이 하나여서 48세의 意味로 쓰이게 되었다.
△知命=50세를 이르는 말로 知天命이라고도 한다.
에 나오는 말로 孔子가 나이 쉰에 天命 곧 하늘의 命令을 알았다고 한 데서 緣由해, 50세를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耳順=60세를 이르는 말로 모든 일을 함에 있어 事理에 잘 통하고, 順理대로 따른다는 뜻이다.
61세가 되면 回甲, 還甲, 進甲, 華甲 등을 맞았다고 하는데 進甲은 回甲 이듬해 生日을 가리키기도 하여, 62세 生日을 말하는 境遇도 있다.
北韓에서는 70세를 進甲이라고 한다.
△古稀=中國 唐나라 때 詩人 杜甫의 詩에 '人生 七十이 예로부터 드문 것이라네(人生七十古來稀)'라는 句節이 있다.
여기에서 由來되어 70세를 古稀(고희)라고 한다.
또 70세를 從心이라고도 하는데 에 '70세가 되면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어긋남이 없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八=80세를 가리키는 말로 ?(질)자를 분리해 보면 '늙음(老)에 이르렀다(至)'라는 말이다.
△米壽=88세를 이르는 말로 米에 아래 위로 八이 2개가 들어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白壽=99세를 가리키는 말로 百에서 획이 하나 빠지면 白이 되듯 100에서 한 살을 뺀 나이라는 뜻이다.
米壽, 白壽 등은 글자 모양을 가지고 일본 사람들이 만들어 즐겨 쓰는 것으로 특별한 의미가 들어간 말은 아니다.
△上壽=100세는 가장 높은 나이라고 하여 이렇게 나타낸다.
자료제공 : 장원교육 한자연구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