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국선열.애국지사 148명 정부포상

입력 2004-08-14 09:36:26

(서울=연합뉴스) 오는 15일 광복 제59돌을 맞아 일제 강점기 국내외에서 독립운동

을 전개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148명에게 건국훈장 등 정부 포상이 수여된다.

국가보훈처는 13일 이들 148명의 독립유공자에게 수여되는 정부 포상은 건국훈

장(독립장 1명.애국장 21명.애족장 18명 등 40명)과 건국포장(24명), 대통령 표창(8

4명) 등으로 생존자는 7명이라고 밝혔다.

또 전체 포상자 148명 중 76명은 당시 판결문, 수형인명부, 신문보도자료 등을

통해 독립유공자로 발굴했으며 이들 중에는 3.1운동 참가자 57명이 포함돼 있다고

보훈처는 설명했다.

1923∼4년 상하이(上海)에서 의열단원으로 활동한 윤자영(1894∼1938) 선생에게

는 건국훈장 독립장이, 1919년5월 평양에서 독립신문을 발간하다 체포돼 징역살이를

한 주요섭(1902∼1972)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애족장이 각각 수여된다.

특히 윤 선생은 모스크바 고려공산당 코민테른에 참가해 '꼬르뷰로'(조선공산당

중앙총국) 위원과 중국공산당 동만주특위 선전부에서 활동하는 등 국내는 물론 중국

과 만주에서 '사회주의 이념'을 통한 민족독립운동을 벌인 공로를 인정받게 됐다.

보훈처 관계자는 "공산주의 진영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에 대해서는 훈.포장을

가급적 배제해 왔으나 앞으로는 독립운동 공적이 크고 친일행적이 없는 공산주의 계

열 유공자가 광복 이후 좌익활동을 하지 않은 경우로까지 포상을 확대할 방침"이라

고 말했다.

이들에 대한 포상은 15일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리는 광복절 중앙 경축식과 각

시.도 및 재외공관에서 거행되는 광복절 경축식장에서 본인 및 유족에게 수여된다.

천안 독립기념관 경축식에는 일본군에 징집될 경우 중국군에 투항, 항일운동을

전개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원고를 작성, 배포하다 체포돼 옥살이를 한 최병태(80)

씨 등 생존자 2명도 참석한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사람은 모두 9천528명으로

대한민국장 30명, 대통령장 92명, 독립장 780명, 애국장 3천126명, 애족장 3천789명,

건국포장 451명, 대통령표창 1천260명 등으로 늘게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