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마당-수입 유기식품 관리대책 급하다

입력 2004-07-31 11:05:07

국내 농산물이 값싼 수입 농산물과의 경쟁에서 이기려면 품질 경쟁력을 높이거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가격 경쟁력을 단시일 내에 높인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이 때문에 품질 경쟁력을 높여나가는 방안이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로 위기에 처한 우리 농업을 살리는 대안으로 강조되고 있다.

최근 유기농업을 비롯한 친환경농업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런 추세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우려되는 것은 최근 이러한 틈새를 비집고 유기가공식품의 수입이나 수입 유기농산물을 원료로 한 가공식품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대기업에서조차 중국산 유기재배 콩을 원료로 한 두부를 시판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이들 제품의 신뢰성을 담보할 만한 관리체계가 제대로 이뤄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한 사회단체가 백화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수입 유기가공식품 실태 조사를 한 결과도 이를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유기농산물의 함량 표시만 보더라도 각 원료에 대한 함량만 표시된 것에서부터 원료별 함량이 선별적으로 표시된 것과 총 함량만 표시된 것 등 천차만별이어서 소비자들이 정확한 함량을 식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수출국의 인증기관이나 인증마크가 표시되지 않은 것도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시제도 자체가 제대로 정립돼 있지 않아 소비자의 알 권리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국내 농업 발전을 위해서나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될 문제이다.

이런 폐단을 시정하려면 유기농산물이나 유기가공식품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수입 유기농산물이나 유기가공식품도 국내 인증을 거치도록 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

이를 수수방관하다가는 고품질 농산물 생산을 통해 국내 농업의 경쟁력을 높여나가겠다는 농정 기조마저도 흔들릴 위험이 없지 않다.

김승기(대구시 동문동)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