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R&D 특구' 청신호

입력 2004-07-28 14:21:14

청와대 "특별법 포함 안돼도 별도 입법 필요"

포항의 'R&D특구' 지정에 청신호가 켜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오는 9월 정기국회에 상정될 'R&D특구 특별법'에 포항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별도 입법을 통해 포항을 특구로 지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포항을 방문한 노무현 대통령도 '지역혁신발전 5개년계획 토론회'에서 포항의 R&D특구 지정을 언급해 당초 대전 대덕밸리만을 대상으로 한 R&D특별법 제정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했다.

정부가 포항의 R&D특구 지정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자, 경북도는 정부가 추진 중인 'R&D 특구특별법'에 포항을 포함시키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의근 경북지사는 28일 오후 청와대 김병준 정책실장, 박기영 과학기술보좌관, 이원덕 사회정책수석비서관 등을 만나 청와대 차원의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이 지사는 주낙영 경제통상실장 등 실무진을 27일 박기영 과학기술보좌관에게 미리 보내 경북도가 준비한 '포항 R&D특구 지정안'을 사전 설명했다.

박 보좌관은 이 자리에서 "포항은 대전 대덕밸리와 함께 R&D 특구 성공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지역"이라며 "포항이 성공적인 첨단과학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토론회에서 포항의 혁신역량을 발표한 포항공대 임경순 교수는 "포항은 포스코라는 핵심 기업과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인력, 교육 및 주거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특구지정만 하면 세계적인 R&D특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9월 정기국회에 상정될 예정인 R&D특구 특별법에 포항을 포함시키려면 넘어야 할 관문이 많다.

R&D특구 특별법을 준비해 온 과학기술부는 대덕 외에 다른 지역을 포함시킬 경우 자칫 지역간 과당 경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청와대 역시 "포항을 포함해 특별법안을 제출하려면 준비 시간이 부족해 이번에는 대덕만 추진하고 포항은 별도 입법을 추진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특별법에 포항을 포함시키키 위해 '대덕+α '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한편 포항을 R&D특구로 지정해 혁신클러스터의 모범사례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며 전방위적인 대정부 설득작업을 펼치고 있다.

이종현 대구경북지역혁신협의회 의장은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대덕만을 위한 '폐쇄형' 특구법보다는 포항을 포함하는 '개방형' 특구법이 바람직하다"며 "포항이 첨단소재 분야에 한정된 특구를 지향한다면 지정 가능성뿐 아니라 성공확률도 훨씬 높다"고 말했다.

김수용기자 ksy@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