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포정수장 시설유지 '반발'

입력 2004-07-23 13:49:25

수자원공사와 경주시가 경주 감포읍 오류리에 소규모 용수전용댐인 감포댐을 건설하면서 종전 취수원인 감포정수장 취수시설을 유지하기로 결정하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마을 내에 자리잡은 정수장 때문에 상수도보호구역으로 묶이며 그동안 재산권행사와 오염물질 유발시설 설치제한 등 각종 불이익을 받아왔다"며 "시행처인 수자원공사와 경주시가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감포댐 수몰지역 토지보상 매입처인 경주시가 용지매입을 실시하면서 댐 상류지역 3만여평에 대해서는 매입계획이 없고 상수도보호시설로 제한키로 방침을 세우자 주민들은 "용지매입이 형평성을 잃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용수전용댐은 향후 물 부족에 대비해 건교부가 오는 2011년까지 경주시 감포읍 감포댐과 청송군 신풍, 성덕댐 등 전국 10개지역에 건설하는 저수량 11만~1천77만t의 소규모 댐. 이 가운데 경주 감포댐은 지난 2002년 공사에 들어가 오는 2006년 2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9월부터 담수를 실시하며, 하루 8천t을 취수해 2만4천명분의 식수를 공급하는 용수전용 소형댐이다.

주민들은 시행자인 수자원공사와 경주시가 당초 감포댐 건설계획을 설명하면서 댐이 완성되면 기존의 감포정수장의 취수와 정수장을 모두 취소하고 보호구역도 풀어줄 것을 약속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공사 측은 1일 취수량 8천t 중 감포댐에서 4천500t을 취수하고 기존 취수장에서도 1일 3천500t을 취수하는 보조수원으로 그대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때문에 주민들은 여전히 재산권이 침해돼 댐 건설의 의미가 없어졌다고 반발하고 있다.

또 용지매입과 관련, 용지매입비 52억원을 수몰지구 인근 지역에 대해서만 보상을 실시할 뿐 상류인 오류3리 주민들의 3만여평에 대해서는 아무런 보상계획이 없어 재산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감포읍 오류3리 주민 오석환씨는 "취수시설의 철거와 공정한 토지보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주민들의 명의로 행정소송 등 법적절차를 밟아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주시 한 관계자는 "주민들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기 위해 취수원인 하천에 대해서만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어두는 방안과 미 보상지역인 사유지에 대해서는 국비로 보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라고 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