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보고 온 사람은 바다를 이야기한다.
산을 보고 온 사람은 산을 이야기한다.
바다와 산은 사람들의 말 속에서 얽히고 설켜
바다는 바다를 잃고, 산은 산을 잃어간다.
난해한 사람의 말,
끊임없이 계속되는 그 말에서
보이지 않는 산과 바다들이 하나의 껍질을 쓰고
사람들 곁에서 돌아눕는다.
구석본 '여름의 말'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라고 한 성철 스님의 법문을 나는 헤아리지 못한다.
그러나 이 법문 속의 산과 물은 적어도 껍질을 쓰고 있지 않은 알몸의 그것임은 확실해 보인다.
바다가 이별과 소멸의 공간이라 말할 때, 산이 신성과 도전의 세계라 말할 때 그 산, 그 바다는 그대가 만든 산, 그대가 만든 바다일 뿐이다.
사물의 제 모습은 스스로 그렇게 존재할 때이다.
말이란 자주 욕망의 손아귀여서 바다를 다치게 하고 산을 해친다.
진정 그대가 현자(賢者)라면 바다를 이야기하지 않고 바다를 산다.
저 산의 뻐꾸기가 그와 같다.
강현국(시인.대구교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