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대당 수익 하루 3,4만원 감소
대구 시내버스가 장기 파업 이후 승객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대구~경산 구간에서 경쟁을 벌이는 경산버스가 공동배차제를 파기하고 요금도 다음달부터 좌석버스 300원, 일반버스는 100원씩 각각 인하키로 해 대구 시내버스 업계의 어려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15일 대구시에 따르면 파업이 끝난 6월의 시내버스 1대당 운송수익금은 하루에 32만7천여원으로 전월의 36만여원보다 3만3천여원이 줄었고, 지난해 같은 기간의 하루 수익금 36만8천원에 비해서도 4만여원 감소했다.
이는 장기간의 파업으로 인해 시내버스에 대한 시민들의 시선이 차가워지고 지하철 등 대체교통수단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데다 대학생들의 방학까지 겹치면서 버스 이용객이 크게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업체들이 운송 수익금만으로는 정상적인 임금지급이 불가능, 은행 대출에 의존하고 지난 10일의 급여지급일에는 시기에 맞춰 제대로 지급한 버스 업체가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대구시내버스조합 관계자는 "승객 감소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버스기사를 대상으로 한 친절 교육 외 다른 방법이 없어 답답하다"며 "그러나 경산버스의 일방적인 요금인하와 공동배차 파기는 운수사업법 및 대구버스조합과의 합의에 위배되는 만큼 대표자회의를 열어 손해배상청구 등 대책을 강구해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15일 오후 시청에서 2차 시내버스개혁시민위원회를 열고 준공영제 시행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