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는 문자 언어이면서 표현 기능이기 때
문에 일반적으로 언어의 4 기능 중에서 가장
나중에 접하게 되는 기능으로 어렵게 생각한
다.말을 할 때는 언어 이외에도 의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억양,음색,음조,표정과 제스처
등을 병행할 수 있지만 쓰기에서는 전적으로
문자에만 의미 전달이 일어난다.
글을 쓸 때는 대상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무
슨 내용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쉽지 않다.그
리고 쓰기 기능에 숙달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영어 쓰기는 철자,어휘,문법 등 형
식적인 잘못을 지적하고 고치므로 흥미를 주
지 못한다.글은 문자화돼서 영구히 그 상태로
남게 되므로 학습자가 쓴 글을 충분히 검토하
여 자신감을 길러 주어야 한다.
글을 쓸 때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내용 구
성이 논리적이고 체계적이 되도록 한다.초기
단계에서 쓰기는 교사의 통제를 많이 받지만,
학습자에게 어느 정도의 선택권이 주어지므로
학습자 자신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글을
쓰면서 말하기 연습을 하고,글을 읽으면서 쓰
기를 위한 언어 규칙을 익힐 수 있어 기억에
오래 남게 할 수 있다.쓰기는 학습자가 자신
의 학습 결과를 직접 볼 수 있으며,자신이 전
하고 싶은 내용을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서 확
인함으로써 성취감을 맛볼 수 있다.
쓰기 활동은 쓰는 목적이 뚜렷해야 한다.비
록 베껴 쓰기 활동이라도 글을 쓰는 의미를 알
고 생각하면서 쓰면 흥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다.쓰기 활동에서 가장 먼저 하는 것이 베
껴 쓰기이며,이는 알파벳이나 단어 및 문장의
형태를 익히기 위한 것으로 제시된 모델을 보
고서 옮겨 적게 한다.
김성문 저 '초등 영어 수준별 수업 방법론 '에서
발췌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