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서둘러선 안된다

입력 2004-07-08 14:12:00

청와대와 정부 당국자들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남북정상회담이 가까운 시일 내에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어제 열린우리당은 8'15를 전후해 남북국회회담을 열고 여기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을 주요의제로 논의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지난 2002년 남북정상회담 때와 같은 밀실거래를 막기 위해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이를 추진하겠다는 방침도 분명히 했다.

제2차 남북정상회담 추진은 원칙적으로 환영할만한 일이다.

북한 핵문제의 타결과 남북 교류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서는 정상회담이라는 큰 틀의 형식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

여당이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초당적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겠다고 언명한 것도 높이 평가해줄 부분이다.

그러나 정상회담 개최에는 난관들이 적지 않아 전도를 낙관키 어렵다.

북한의 긍정적 반응이 전제돼야 하나 아직까지 어떤 희망적 정보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지난 6'15 기념행사에 참석한 북한 관계자는 "남한에 국가보안법이 있고, 답방 반대 여론도 있는데 김정일 위원장이 함부로 내려올 수 있겠느냐"는 의견을 비쳤다.

분위기 조성과 여건 성숙이 안 돼 있다는 설명이다.

이런 상태에서 우리가 일방적인 기대에 흘러 정상회담을 추진할 경우 본질을 그르칠 수 있다.

시간을 두고 차분하고 내실 있게 회담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한가지 염려되는 것은 우리 내부의 문제다.

의문사위와 같은 급진적 사고가 정리되지 않은 채 북한과의 회담을 서두를 경우 내부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국정 최고책임자가 우리의 정체성과 남북관계의 미래를 분명히 밝혀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 뒤 남북 간 현안에 접근하는 것이 순서라고 본다.

남북관계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기도가 있어서도 안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