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파업이 6일째로 접어들었으나 노사 양측이 주 5일 근무제 등 주요 쟁점에 대한 의견차를 여전히 좁히지 못하고 교섭이 완전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에 민주노총이 '더 이상 상황이 진전되지 않을 경우 교섭과 투쟁 모두 민주노총 차원에서 전개할 수밖에 없다'며 적극 개입 의사를 표명하고 나서 노사 협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민노총은 사용자 측의 교섭태도에 변화가 없다면 16일의 총력투쟁이 실질적인 총파업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혀, 금속노조 및 지하철을 비롯한 공공연맹 등과의 연대 파업으로 이어질 우려도 낳고 있다.
보건의료노조 대경본부는 15일 경북대병원 등 대구.경북지역 7개 의료기관, 500여명의 노조원들(노동청 집계 350여명)이 상경투쟁 등 파업에 참가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적십자혈액원 등은 일부 조합원만 파업에 참가했고, 보훈병원 등도 노조간부 중심으로 파업해 혈액 수급 등 심각한 의료공백은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 대경본부 류남미 조직부장은 "파업 참가자가 14일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교섭에 더 이상 진전이 없을 경우 로비농성을 재개하는 등 투쟁의 강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4일 오후 7시부터 속개된 실무교섭은 세 차례 정회를 거듭하며 주 5일 근무제 등 핵심 쟁점사항에 대해 논의했으나 입장 차를 줄이지 못한 채 새벽 4시쯤 끝났다.
이날 교섭은 노동부에서 직접 참관했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었고, 15일 오후 3시부터 고대의료원에서 다시 교섭하기로 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