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따뜻한 정을 바랍니다'.
8일 오후 중구 삼덕동 근로복지공단 대구본부앞. 낯선 이방인 4명이 힘 없는 농성을 벌이고 있었다.
이들은 지난 4월27일 지하철1호선 아양교 선로에서 투신 자살한 중국인 여성 근로자 정유홍(30)씨의 '산재 인정'을 요구하며 6일째 단식 농성을 벌이고 있었다.
지난달 15일 파티마병원과 대구고용안정센터 등을 돌며 이곳까지 와 농성을 벌이는 중국인은 정씨의 남편 장정화(37)씨와 친정아버지 및 사촌동생 등 유족들. 남편을 빼곤 모두 정씨의 억울한 죽음을 전해 듣고 한국으로 달려왔다.
숨진 정씨는 지하철 선로에 몸을 던지기 전 급히 써 내려 간 듯한 필체로 짤막한 유서를 남겼다.
'집에 가고 싶어요. 회사 사장님이 돈을 주지 않으며, 노동부에 가서도 해결 못 했어요. 외국인도 사람입니다.
나는 돈이 없어 집에 못 갑니다.
방법이 없어 죽음을 택했습니다'.
한국에 오기 전까지 중국 선양에서 공무원으로 있다가 먼저 한국에 들어온 남편과의 재회 및 외동 아들의 대학등록금 마련을 위해 불법 외국인 근로자가 됐다는 정씨. 여느 외국인 근로자와 다르지 않게 힘들지만 미래의 꿈을 그리며 버텨온 수년간의 생활을 그녀는 짧막한 유서로 대신한 채 마감했다.
이후 유족 및 이주노동자 공동대책위원회는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을 했으나 돌아온 답장은 '불승인'. 정씨의 죽음이 직장에서 야기된 문제가 아닌 개인적인 문제로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유.
남편 장씨는 "아내가 다니던 공장생활이 힘들어 고용안정센터에 전직을 희망했으나 번번이 묵살당했다"며 "고용주의 허락이 있어야만 사업장을 이동할 수 있는 현행 고용허가제의 편법을 사업주가 악용하는데도 관계기관에서는 그 상황을 잘 몰랐다"며 울먹였다.
농성장 한편에선 정씨의 아버지(57)가 종이를 깔고 쪼그린 채 누워 있었다.
"외손자에게는 에미가 어떻게 죽은지도 알리지 못하고 교통사고가 났을 뿐이라고 둘러댔는데 언제쯤 딸애 영정을 들고 중국으로 돌아가려나"라며 움츠린 몸을 더욱 웅크렸다.
문현구기자 brand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