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국고지원 갈팡질팡 해서야

입력 2004-06-07 14:00:35

건설교통부가 대구시와 지역정치권에 약속했던 지하철 국고지원 증액과 부채 탕감을 2005년도 국고지원 사업내역에 한푼도 책정하지 않았다는 것은 심히 유감이다.

건교부의 건설.교통정책이 이렇게 갈팡질팡이어서 지방정부가 건교부를 어떻게 믿고 따를 수 있겠으며, 이 분야 자치행정을 제대로 펼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

건교부는 총선 전인 지난 2월 내년부터 지하철 건설비 국고지원비를 현행 50%서 10% 더 늘려 60%까지 지원키로 약속하고, 대구와 부산 광주 등 5개 광역시의 지하철 부채를 40% 탕감해 만성적자에 허덕이는 광역자치단체들의 어려움을 덜어 주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지역정치권을 비롯 해당지역 국회의원들이 이를 문서로 보장하는 등 보다 확실한 담보를 요구하자 건교부는 참여정부의 방침인 만큼 믿어달라고까지 했었다.

하지만 건교부는 대구시가 내년도 지하철 2호선 건설비를 국고지원 60%로 계상, 1천56억500만원을 신청했으나 종전과 같이 50%만 반영하고, 부채탕감도 636억2천200만원 요구를 아직 확정된 정부방침이 아니라며 전액 삭감했다.

우리는 건교부의 정책과 약속이 이처럼 4개월 만에 유야무야 되어서는 곤란하다는 생각이다.

이런 정책을 펴고서 누가 정부의 약속을 믿겠으며, 지방자치단체들인들 제대로 된 건설.교통행정을 수립할 수 있겠는가. 물론 16대 국회 막바지여서 정치권의 집요한 요구가 없지 않았을 터임을 모르는 바 아니나, 건교부는 약속한 정책에 조금이라도 책임지는 자세를 보였어야 했다.

그리고 이렇게 된 데에는 한나라당 지역정치권의 책임도 없지 않다.

지역정치권은 당시 지하철 국고지원 증액과 부채탕감 약속을 받아 낸 데 대해 모처럼 대구.경북 시.도민들에게 얼굴을 들 수 있게 됐다며 자화자찬하고 자축연까지 열었다.

한나라당 지역정치권은 17대 국회서 이를 철저히 따져 자화자찬이 선거용이 아니었음을 대구시민들에게 보여야 할 것이며, 건교부도 약속에 버금가는 다른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