釜山 APEC 유치의 교훈

입력 2004-04-27 11:47:40

21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내년 제13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로 부산이 최종 확정됐다.

새정부 이후 최대 외교행사를 지방도시에서 처음 개최하는 쾌거를 이룩한 부산 시민의 역량에 먼저 갈채를 보낸다.

아울러 '지방화'와 '세계화'가 공존하는 시대에 '지방의 논리'를 자신있게 부각시켜 지방화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점에서 대구.경북 지역민에게 던져주는 메시지 또한 크다.

먼저 부산 개최확정은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이라는 시대적 소명을 절묘하게 활용한 결과물이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부산개최가 거론되면서 부산시의회는 즉시 APEC 부산유치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지난해 9월에는 '부산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12월에는 '100만명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이는 부산상의가 앞장섰다.

시민들의 열기가 개최지 선정의 결정적 요소가 된 것이다.

특히 안상영 시장 구속이라는 악재(惡材)가 부산유치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있었지만 시민들의 자발적 관심과 열기 속에 묻혀버렸다.

사실 회의시설, 숙박시설, 항공, 경호, 교통 등에서 거의 완벽한 조건을 갖춘 곳은 서울이다.

그러나 "가능하면 지방도시에서 개최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청와대의 입장이 전달되면서 개최지는 부산과 제주로 압축됐다.

결국 2차 표결까지 가는 접전 끝에 부산개최가 확정되자 누구보다 기뻐한 사람은 부산시민일 것이다.

'하면 된다'는 소중한 열매를 얻었기 때문이다.

이제 지역으로 눈을 돌려보자. 애초 부산 이외에도 서울 제주 대구 창원 등 다수의 국내 도시들이 대회 유치를 희망했으나 회의장.숙박.공항시설 등 제반 인프라에서 뒤져 대구는 일찌감치 도중하차했다.

자격미달에 걸려 '목청' 한번 높여보지 못한 것이다.

그렇다고 중앙 지원 부족을 탓할 수도 없는 시대다.

지방혁신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부산APEC유치의 함의(含意)를 되새기며 이웃 잔치에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