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大學도 구조조정 서둘러야

입력 2004-04-22 12:18:43

경상대와 창원대의 통합 추진은 본격적인 대학 구조조정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며, 이를 계기로 대학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4년제 국립대 가운데 처음으로 시도된 이들 두 대학간의 통합 양해각서 체결은 지방대의 경영난 돌파구와 경쟁력 찾기로 읽힌다.

충청권과 강원권에서도 국립대의 통폐합이 논의되고 있다지만, 대구.경북 지역의 대학들도 발등의 불이 아닐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교육인적자원부가 국.공립대 통폐합, 부실 사립대 퇴출, 전문대.산업대 정원 감축 등 구체적인 대학 구조조정 방안을 5월 안으로 마련, 대통령에게 보고할 예정이라 벌써 대학들의 위기의식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교육부는 권역별 국립대간의 연합체제 구축, 교육대와 사범대의 통폐합, 경영이 어려운 사립대간의 인수.합병 등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그간 안일한 확대 정책으로 대학의 수와 학과, 정원을 무계획적으로 늘려 대학들을 무경쟁력 상태로 전락시켰다.

고교 졸업생 수가 대학 신입생 정원을 밑돌기 시작한 지도 2년이나 됐다.

올해 입시에서는 대구.경북 지역 대학들도 수능.학생부 성적을 무시하고 선착순 모집해도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젠 경쟁력이 없는 대학들은 과감하게 구조조정을 하고, 방만한 체제의 국립대는 기능별로 특화하는 방향으로 통폐합을 하는 게 옳다.

대학 구성원들은 물론 동문들이나 재학생들의 반발 등으로 적지 않은 진통이 불가피하겠지만, 과거처럼 대책 없이 물러설 일은 아니다.

대학의 구조조정은 지방의 균형발전 정책과도 맞물려 있어 세심한 판단이 요구된다.

지방의 특성과 수요에 부응하면서 지역사회와 보다 밀착된 관련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

정치적으로 접근하고 로비에 휘둘리면 결과는 보나마나다.

대학의 경쟁력은 곧 국가의 경쟁력이라는 인식의 바탕 위에서 대학들은 철저한 자기반성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