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저소득층 주민들의 창업.취업을 위해 운영중인 복지관내 '기능.기술교육' 강좌가 저소득층 주민 참여율 저조로 일반 주민들의 '취미반'으로 변질, 운영되고 있다.
또 일부 수강 교과목은 20년넘게 그대로인 데다 강사 공개채용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새로운 직업환경에 맞게 교육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시가 운영중인 복지관은 시 종합사회복지관과 대구여성회관 및 동부여성문화회관 등 3곳으로 컴퓨터와 양재, 미용, 제과제빵, 생활한복, 홈패션.퀼트, 한식.일식 등 복지관마다 9~12개 과목을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300~600명에 이르는 기능.기술교육 강좌 수강생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모.부자 가정 및 무주택주민 등 저소득 주민들은 고작 10~30%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것. 복지관 한 교육담당자는 "하루 생계에 바쁜 저소득 주민들이 4개월 이상 걸리는 자격증 강좌에 참가할 여유가 없는 것 같다"며 "요즘 취업.창업에 유리한 수업을 하려고 해도 예산부족으로 개강이 힘들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1월부터 전임강사에서 시간강사로 강사신분을 바꾸고 외부강사 공개채용제도도 규정해 놓는 등 교육자의 건전한 경쟁을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는 장치를 마련했지만 강사진과 복지관측의 갈등으로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시대흐름을 따라잡지 못한 교육과목과 10년이상 한자리를 지키는 강사 등 교육의 질적인 부문에 대한 불만도 높다.
한 주부 수강생 김모(35)씨는 "새 기술을 익히지 못한 강사가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을 할 때면 실망감만 들었다"며 "수업도 고무줄식인데 왜 원래 취지대로 바뀌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한 복지관 관계자는 "그간의 기술.기능 교육이 폐쇄적인 강사 채용, 원칙 없는 강의 진행 등 주먹구구식 운영으로 저소득 주민들의 창업.취업기회 구현이란 취지에 무색했다"며 "강사 공개채용과 새 교과목 개설에는 시차원의 지원과 의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병고기자 cch@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