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특수는 없고 선거 불황만…'.
17대 총선이 2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예전과 같은 인쇄.관광업체 호황 등 '선거 특수'는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가 없어 관련 업체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후보들의 합동.정당 연설회와 의정 설명회가 폐지돼 홍보물, 피켓, 현수막 제작 물량이 사라진 데다 대구.경북의 선거 출마자 중 상당수가 법정 홍보물조차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 만들어 주문 물량이 대폭 줄었기 때문.
게다가 불법 선거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면서 단체 모임 등이 줄어들어 식당과 전세버스 업체 등은 오히려 '선거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대구.경북 인쇄공업협동조합은 "예전의 총선때는 선거 홍보물 인쇄가 대구에서만 10억원 이상이나 됐는데 올해 총선은 출마자 수가 비슷한데도 계약금액은 예전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고 했다.
손맹호(60) 조합 상무는 "선거법이 개정된 탓도 있지만 일부 출마예상자들이 단가가 싸다는 이유만을 내세워 선거 홍보물 인쇄를 서울 지역 업체에 맡기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말했다.
전세.관광버스 업체들도 비슷한 상황이다.
3월 하순쯤이면 봄철 관광객에다 선거를 의식한 선심성 관광이 겹쳐 특수를 누려야 하지만 올해는 예년의 70% 수준에 밑돌고 있다는 것. 허노도(40) 와룡고속관광 대표이사는 "예식.등산 등 휴일 이용객을 제외하면 전혀 수요가 없는 상황"이라며 "선거법이 강화돼 정상적인 모임조차 기피하는 데다 유가인상, 불황까지 겹쳐 선거 특수는커녕 전례없는 불황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ㄷ뷔페를 운영하는 구모(53)씨는 "종전엔 선거때면 특수를 누렸지만 이번에는 선거와 관련된 단체 손님 예약은 아예 보이지도 않는다"고 했다.
출마예상자들이 어려운 지역 경기 등을 감안해 '검소한 선거'를 표명하는 것도 선거 특수 실종의 주요 원인 중 하나.
유재희(43) 호림기획 전무는 "예전에는 선거구가 12만 가구 정도 되면 출마후보자의 홍보물을 만드는데에만 2천500만원 정도 들고, 유세차도 대형 멀티비전과 고급 음향장비 등 호화판으로 꾸몄다"면서 "그러나 이번 총선은 오히려 감표요인이 될 것 같다며 다들 몸을 사리고, 돈 안쓰는 선거 경쟁을 벌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