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전기관 비상근무체제

입력 2004-03-13 11:27:23

대구시와 경북도 등 지역 각 행정기관은 긴급회의를 소집, 탄핵정국에 따른 민생안전 대책 마련에 들어갔으며 경찰도 폭력행위 등 소요 사태에 대비해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통령의 권한정지 10여분을 앞둔 12일 오후 5시 조해녕 시장과 이의근 지사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각각 열고, 공직기강확립과 민생안정대책을 논의하는 한편 전 직원의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조 시장은 "대통령 탄핵과 30여일 앞으로 다가온 총선 등 어수선한 사회분위기 속에 동요하지 말고 흔들림 없이 본연의 직분에 전념하라"고 지시했다.

또 대구시장, 경북지사와 대구지검장, 시.도경찰청장, 국정원 대구지부장, 대구국세청장, 기무부대장 등은 13일 오전 7시30분 대구 수성구 그랜드 호텔에서 주요 기관장 회의를 갖고 기관별 공조체제와 민생안정 대책을 논의했다.

주요 기관장들은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총선이 끝날 때까지 국론이 찬.반 양론으로 갈려 심각한 혼란이 예상된다"며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전 기관들이 긴밀한 공조 체제를 유지키로 했다.

또 사회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우선적으로 공직 기강을 확립하는 한편 엄정한 법 집행을 통해 민생.경제 사고 예방에 적극 나서며 비상근무체제에 일제히 들어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오는 15일 오전에는 대구시청 상황실에서 대구.경북 기관장 29명이 '지역 안정대책' 수립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대구.경북경찰청은 이날 탄핵안 가결에 따른 기습시위, 점거농성과 사회 혼란을 틈탄 각종 민생 침해 사범을 막기 위해 주요 행정기관, 여.야당의 시도지부 당사, 금융기관, 공항 등에 대한 경비를 강화했으며 주택가의 순찰도 대폭 늘렸다.

경찰은 또 전 지휘관이 정위치 근무토록 하고 춘계 휴가의 전면 중지와 휴가자의 즉시 귀대조치를 취하는 한편 일제 검문검색 등도 한층 강화키로 했다.

최창희기자 cch@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