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녹화…이젠 산림" 시 면적 50% 넘는 4만5천ha 차지

입력 2004-03-13 11:45:03

'녹지 백년대계'.

13일 오전 대대적인 식목일 행사를 가진 조해녕 대구시장이 '대구산림녹화 100년계획'을 수립할 것을 지시, 대구의 산림지도가 새롭게 바뀔 전망이다.

문희갑 전 시장의 도심녹화 사업에 이어 '푸른 대구 만들기' 분위기를 확산시켜 나갈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산주들과의 협의과정에서 진통도 예상되고 있다.

조 시장은 간부들에게 "대구는 녹지와 나무가 많아 녹지기본계획이 정비됐으나 전반적으로 수종갱신과 같은 산림녹화 100년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임학자들과 협의해 연내 계획수립을 지시했다.

조 시장은 이를 위해 시 산림 전역에 대한 현지 답사와 항공사진을 활용, 전체 산지를 대상으로 수종 보존지역과 갱신지역으로 나눠 해마다 1% 정도 갱신작업을 벌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오는 6월부터 전문가그룹 자문을 거쳐 기초조사팀을 가동하거나 용역을 의뢰, 현재 시면적의 50%를 웃도는 4만5천ha의 산림을 수종갱신 지역과 보존 및 조림지역으로 나눠 구체적인 계획마련에 들어갈 예정이다.

우선 시는 수종갱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2부능선 이하인 1만ha 가운데 현재 연간 10ha 정도에 그치는 수종갱신 면적을 100ha로 늘리고 ha당 200만~300만원의 관련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이와 함께 대구시는 연간 1천ha에 이르는 육림사업은 계속하면서 지역별 특성에 맞고, 수종을 바꿀 경우에도 목재용보다 경관림을 위주로 심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대구 산림의 97%가 사유지인 탓에 수종갱신에 따른 국.시비를 제외한 산주들의 부담이 10%에 이르러 이를 둘러싼 갈등이 예상됨에 따라 대구시는 산주부담을 시비로 대신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강점문 대구시 녹지과장은 "현재 도(道)단위 단체에서 10년을 주기로 산림녹화 계획을 세우지만 광역도시에서는 장기적인 녹화계획은 쉽지 않다"면서 "이번 100년계획은 잘 활용하면 대구시의 자연환경이 새로 변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말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