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값이 폭등하고 품귀현상이 심화 되면서 하천, 교량 등 수해복구공사가 차질을 빚고 있다.
철 제품의 품귀는 비단 수해복구 뿐 아니라 자동차 조선 아파트 건설 등 전 산업분야에 영향을 미치지만, 수해복구는 공기가 필수적이란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철근 품귀로 복구공사가 중단되자 일부 자치단체서는 t당 10만원 이상 오른 인상분을 부담하면서까지 철근확보에 나서고 있으나 소요물량의 태반도 못 채워 애를 태우고 있다.
안동시의 경우 철근 파동으로 공사가 중단된 60여업체의 소요량 2천t을 일괄 구입, 수해복구 공사에 충당하려 했으나 고작 20%에 불과한 200t 확보에 그쳤다.
이같은 현상은 수해가 특히 심했던 경북 북부 지역 9개 시.군을 비롯 경북도내 수해지역 모두가 비슷한 실정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철근을 수해복구공사 업체가 자체적으로 조달하는 사급(私給)업체는 공사 입찰 당시의 철근 값과 현재의 철근 값이 50%이상 올라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며 공사를 중단하거나 기피하고 있다.
이들은 철근값 인상분을 공사발주처가 보전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수해복구공사에 드는 철근은 대부분이 관급(官給)으로 조달청에서 공급한다.
따라서 복구공사의 철근 확보는 조달청이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조달청은 시중의 철근을 사서 공사를 하면 준공후 정산을 해주겠다고 하면서도, 추가인상분은 책임질 수 없다고 말해 공사지연을 부추기고 있다.
문제는 철근품귀현상이 언제쯤 풀릴 것인가 하는 것이다.
포철을 비롯한 국내 철강회사들이 원자재를 확보해 생산을 늘리고, 수출물량을 줄여 내수 충당에 나선다하더라도 5월이나 6월쯤 원활해질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될 경우 수해복구 공사 지연으로 복구공사도중 수해를 입을 것이 우려된다.
복구도 안된 수리시설에 또다시 수마가 할퀸다면 엄청난 재난이 올 것이다.
관계당국은 수해복구공사 철근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철근공급에 총력을 기울여야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