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 '농민 목소리' 경청해야

입력 2004-02-27 11:45:50

농협의 존재 이유는 농민조합원을 위한 것이 절대명제다.

경북지역 곳곳에서 회원농협 농업인들이 요구하고 있는 '농협 개혁'의 목소리는 상당부문 설득력 있다고 본다.

농축산물 시장개방 등에 위기의식을 가진 조합회원들의 자구차원의 행동이라는 판단도 가능하다.

우선 구미장천, 칠곡가산 농협 등서 요구하고 있는 농협 임직원 임금 인하 등에 대한 절충점 모색을 바란다.

대구 달성군 유가농협의 조치가 타협의 제시다.

유가농협은 지난 25일 임직원과 조합원이 참가한 '화합 한마당 행사'를 갖고 임직원 연봉삭감 및 대출금리 인하 등에 합의했다.

연봉은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지만 농민들의 소득 등을 감안하는 현실의 반영이라야 한다.

유가농협의 조치는 순기능과 설득력 있다는 평가를 받을만하다.

대출금리와 관련한 농협중앙회의 대책은 늦은 감은 있지만 적절한 것으로 본다.

농협중앙회는 지역농협 대출금리를 현행 7.2%(연평균 기준)에서 6.7% 수준으로 내릴 계획이다.

'농협개혁방안'으로 마련한 이 조치와 함께 읍.면 소재지내 지역조합과 중복설치돼 있는 중앙회 소속 신용점포는 올해 상반기에 폐쇄키로 했다.

우리의 의문점은 농협중앙회가 왜 이런 불합리한 요인을 여태까지 스스로 제거하지 않았느냐는 점이다.

위의 일련의 조치들은 회원농협 조합원들의 집단행동의 결과물이라는데 도달한다.

지난 21일 성주.고령.칠곡 농업경영인 연합회는 임.직원들의 임금을 최소 35% 삭감하는 내용의 결의를 했었다.

그 이전인 지난해 7월 9개 농민단체가 농협개혁을 요구하며 경북 20개 시.군지부 등 전국에서 농성을 한 적이 있었다.

농협중앙회는 회원 농협조합원 등 농민들의 목소리를 더욱 경청할 일이다.

농협이 준정부기관이나 농촌금융기관으로 기능이 쏠렸다는 지적을 흘려서는 시대에 맞는 농협으로 거듭날 수 없다.

농협중앙회 비대화, 시.군지부 기능축소나 폐쇄 등 전면적인 개편 등 대안을 서둘러야 한다.

농협, 농민을 위한 조직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