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들의 예술행사 관람률이 외환위기 이
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관광부가 3년 주기로 실시하는 '2003년 문화향수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연간 전체 예술행사 관람률은 62.4%로 2000년에 조사한 54.8%보다 증가했다. 그
러나 이같은 증가는 주로 영화관람률의 상승에 따른 것으로 문학, 미술, 음악회, 전
통예술공연, 무용 등은 관람률이 약간씩 감소했다. 1997년에 조사한 예술행사 전체
관람률은 66.8%였다.
영화관람률은 2000년 40%에서 2003년 53.3%, 대중가요 콘서트는 8.6%에서 10.3%,
연극.뮤지컬 공연은 10.9%에서 11.1%로 증가했다.
반면 순수예술분야인 문학행사는 5.1%에서 4%, 미술전시회는 11.6%에서 10.4%,
클래식음악.오페라 공연은 6.7%에서 6.3%, 전통예술공연은 7.7%에서 5.2%, 무용공연
은 2%에서 1.1%로 감소했다.
예술행사의 연평균 관람횟수는 영화가 3.5회로 가장 높았고, 무용이 0.01회로
가장 낮았다. 예술행사 관람의 걸림돌로는 시간부족(36.5%)과 비용과다(30.9%)가 대
부분을 차지했다.
한편 문화시설 이용률은 도서관 이용률이 2000년 12.4%에서 2003년 16%로 증가
한 것 외에 시.군.구민회관, 문화예술회관, 복지회관, 청소년회관, 문화원, 박물관,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사설문화센터 등의 이용횟수는 모두 감소했다.
여가생활의 경우 평일은 3시간5분, 주말이나 휴일은 5시44분으로 2000년에 비해
평일과 주말.휴일 모두 여가시간이 22분 정도 줄었다. 가구당 월평균 여가비용은 23
만1천원으로 2000년의 16만9천원보다 6만2천원 정도 늘었다.
여가 시간의 경우 '텔레비전을 보거나 집에서 쉰다'는 응답이 평일 38.9%, 주말.
휴일이 26.4%로 가장 많았다. 나머지는 인터넷.게임(9.5%), 신문.잡지보기(7.9%),
산책.스포츠(7.4%), 가족과대화.외식(5.4%) 등의 순이었다.
이번 실태조사는 문화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원장 이영욱)이 2003년 8
월 11일부터 9월 5일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5세 이상 국민 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이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