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개통땐 대구 항공수요 80% 잠식"

입력 2004-02-23 11:42:45

4월1일 개통될 경부고속철은 국토의 균형발전보다는 수도권의 집중과 이에 따른 지역간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대구는 항공기의 운항 수입이 80%나 줄어드는 등 항공기와 고속버스의 운행 및 수입 감소폭이 다른 지역보다 더욱 클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토연구원과 교통개발연구원이 발표한 '고속철도가 국토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일 31만4천명인 경부축(京釜軸) 철도 이용객이 고속철 개통이후 계속 증가, 오는 2010년에는 38만9천명으로 늘어난다는 것.

반면 기존의 철도 외 교통수단은 크게 위축돼 항공노선 경우 서울~대구의 운항횟수가 80%로 가장 많이 줄고 서울~부산 노선은 60%정도, 서울~포항 및 서울~울산은 운항 횟수가 13%씩 감소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항공기의 운항 수입도 격감해 대구는 2002년 877억원이던 것이 2004년에는 702억원(80%)이나 감소하며, 부산은 연간 3천451억원에서 60%(2천71억원)나 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울~포항노선은 393억원인 운항 수입이 25%(97억원) 감소하고 서울~울산노선도 836억원에서 17%(141억원) 감소해 대구.부산보다는 영향이 덜했다.

항공기와 함께 시외 고속버스의 운행 회수도 줄어 서울~대구 구간은 182회에서 2004년에는 76회(42%)나 감소하고 이에 따라 운행 수입도 48%(88억원)의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서울~천안, 서울~대전은 2004년에 각 11회와 115회가 감소, 감소율이 8%와 37%로 상대적으로 영향이 덜했다.

한편 고속철 개통에 따른 지역별 인구 증감효과는 고속철 정차역이 있는 지역과 경제력 규모가 큰 지역일수록 순인구 유입 규모가 클 것으로 전망됐다

수도권과 대부분 대도시는 현재 인구가 증가하는 곳인데 여기에 고속철도라는 고급 고속 교통수단이 연계되면 인구성장에 부가적 효과를 줄 것이라는 것.

부산시는 연간 약 2천명 정도의 순인구 유입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돼 가장 큰 수혜지역이 될 것으로 예측됐고 그 다음이 경기도 도시지역으로 연간 1천431명의 순인구 유입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은 해당 고속철도 정차도시뿐만 아니라 서울과 용산, 광명의 고속철도 효과가 주변의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관측됐다.

고속철도 개통으로 가장 큰 인구감소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은 경남도내 시지역으로 연간 4천191명의 순인구 유출효과가 예상됐다.

이는 경남 인근의 부산과 울산의 강력한 인구흡입 효과에 따른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고속철도가 운행되지 않는 강원과 제주, 고속철도 정차역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효과가 약한 충북도 도시와 농촌 모든 지역에서 고속철도가 개통될 경우 인구의 감소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전망됐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관련기사--==>지방공항 불법체류자 새 루트?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