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건설공단이 제시한 고속철 대구 통과 구간의 복복선화는 쉽게 말해 기존의 지상화 방안이다.
직선 지하화나 국철 병행 지하화 등은 공기 지연과 예산 증가, 기술점 문제가 뒤따를 수밖에 없어 복복선으로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란 주장.
달라진 것이 있다면 복복선 지상화를 하는 대가로 1조원 정도의 예산을 대구시에 지급하겠다는 방안이다.
1조원은 고속철 주변에 방음벽 및 완충 녹지를 만들고 교차로 개선 등 도심 개선 작업에 사용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철도횡단시설 8개소를 확장.정비하고 3개소를 신설하며 21.8km의 방음벽을 세워 고속철 지상화에 따른 시민들의 불편을 최대한 막겠다는 것. 또한 폭 10m의 완충녹지를 형성하고 이 녹지대를 따라 측면 도로를 건설, 활용하자는 계획이다.
이는 대전시의 전례를 따온 것이다.
대전은 지난해 12월 지하화를 최종 포기하는 대신 5천억원을 철로 주변의 도심 개선비용으로 받기로 했다.
대전은 동구의 일부 지역으로 고속철이 통과하는데 동구의회가 대덕구 오정동~동구 판암동 7㎞ 구간에 대해 개착식 지하박스 공법을 주장하면서 그동안 결론을 내지 못하고 공법 결정에 난항을 겪어 왔는데 결국 지상화로 방향을 굳힌 것.
하지만 대구시는 '한마디로 거론할 가치조차 없는 대안'이라며 정색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지하화가 바람직하다는 공식 입장을 표명했고, 정부도 지하화로 정책 결정을 내린 상황에서 느닷없는 지상화 방안 제시는 10여년에 걸친 논란을 다시 원점으로 되돌릴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특히 건교부의 용역을 받은 교통개발연구원이 제출한 '고속철 대구도심통과 방안 연구' 자료에서도 29km 지하터널안, 국철병행 지상노선안, 3.2㎞ 국철병행 지하화방안, 3.2㎞+α 등 4개 대안을 종합평가한 결과 지하터널 노선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결론난 바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의 한 고위관계자는 "솔직히 언론에서 확대 해석을 피해주면 좋겠다"며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있을 정도다
이 관계자는 "대구는 대전이나 광주 등 타 도시와 달리 고속철이 도심을 완전히 가르며 지나간다"며 "복복선 지상화도 나름의 장점이 있지만 대구시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직선 지하화을 제외한 대안을 재차 거론하기는 어려운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윤조기자 cgdrea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