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TV방송에 '쇼 진품명품'이라는 프로가 있다.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알려지지 않았던 문화재를 방송을 통해 발굴하고자 하는 의도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출품된 문화재를 인기연예인이 나름의 진품여부와 명품정도를 판단하여 쇼 차원의 감정가를 매기고 이를 다시 사계의 전문감정위원이 감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문화재를 출품한 소장자 역시 희망가격을 제시하게 되며 진품여부는 커다란 숫자판의 감정금액이 희망금액보다 높게 표시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 방송프로가 알려지지 않았던 개인 소장 문화재의 발굴과 출품된 문화재에 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알려주는 순기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프로의 방영 초기부터 고고학회 등 학계에서 이 프로의 폐해를 주장한 것처럼 여기에는 문화재를 돈으로 그대로 환산하는 역기능도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문화재의 감정은 진위여부의 판단과 함께 역사적, 문화적 차원의 가치를 밝히는 데 비중을 두어야 하겠으며, 문화재가 지닌 재화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알아두어야 하겠다.
지난 날 문화재가 돈으로 오해되어 음성거래가 이루어짐으로써 얼마나 많은 문화재를 국외로 유출시켰으며, 또 얼마나 많은 도굴을 부추겼는가를 생각하면 문화재의 가치를 방송프로의 감정금액으로 표시하는 행위는 공공의 방송으로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방송이 지니는 전파성과 영향력 등을 고려할 때 시청자들이 무의식적으로 문화재를 돈으로 오해할 소지가 자못 크다고 하겠으며, 방송의 공익성과 공공성을 생각할 때 진행방식의 재편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지금부터라도 출품된 문화재의 감정금액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출품문화재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와 소장 가치에 대한 방청객 또는 네티즌의 평가를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으로 대체하는 것은 어떨지, 이로써 '쇼 진품명품'이 원래 목적하였던 바를 더욱 이룰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박승규(영남문화재연구원 연구실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