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고속철 직선지하화' 공식 지지

입력 2003-08-01 11:33:55

경부고속철의 대구 통과 방식에 대해 대구시가 최초이자 공식적으로 '29km 직선지하화' 안을 지지하고 나섰다. 직선 지하화는 건교부의 10여년 전 최초 안이고 교통개발연구원이 1순위 안으로 평가한 것인데다 대구시까지 동조하고 나섬으로써 채택 가능성이 가장 높아진 것으로 보여, 10여년을 끌어 온 이 문제를 매듭짓는데 유력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경부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방식으로는 교통개발연구원의 평가에서 1순위로 꼽혔고 지난 6월20일 있은 공청회 때 다수의견이었던 지하직선화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1일 건설교통부에 제출했다. 대구시는 "고속철 도심 통과 방식은 대구의 장기적 발전에 기여하고 시민 안전과 방재 대책 확보 및 생활환경 개선 등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쪽으로 선택돼야 한다"고 직선지하화 지지 배경을 설명했다.

대구시는 다만 "교통개발연구원의 연구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할 새 방안이 있다면 기존 경부선 병행 5.8km 지하박스화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그러나 이는 병행 지하박스화를 강력히 주장해 온 백승홍 의원 등 지역 정치권을 의식한데 따른 의례적 표현으로 판단되고 있다. 백 의원은 지난달 18일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설명회 때 "대구시가 5.8km 지하박스화안 지지 의견을 제출하지 않을 경우 시장에게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배수진을 치는 등 강하게 집착해 왔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대구시가 직선지하화를 지지한 것은 5.8km 지하박스화를 택할 경우 철로 경사 문제 등 때문에 전국 철도화물 물류에 부담을 주는데다 지하직선화 때보다 대구 통과 시간이 7분 정도 길어져 중앙정부가 수용키 힘들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직선지하화엔 8년5개월밖에 걸리지 않는 공기가 5.8km 지하박스화 때는 13년7개월로 길어져 장기간 도심을 파헤쳐야 함으로써 불편과 교통난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 신천 바닥을 높여야 해 수위 상승으로 하천 안전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됐다.

고속철도공단은 교통개발연구원의 연구 결과, 공청회 결과, 대구시 의견 등을 종합 검토해 이달 말쯤 건교부에 최종안을 보고할 예정이다. 건교부는 필요할 경우 자문위원단 회의 등을 거쳐 9월 중 고속철 대구 도심 통과 방식을 최종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