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단체장.국회의원들의 '꼼수'경쟁

입력 2003-07-30 13:42:20

임기가 2년 반(半)이나 남은 단체장들이 내년총선 출마채비를 서둘고 있는 모양이다.

또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국회도 아닌 당차원에서 중도사퇴 단체장의 공천을 규제, 출마를 막겠다고 한다.

"찍어주면 분골쇄신하겠다"던 사람들이 1년 반만에 궁둥이를 들썩이는 단체장들이나, 제밥그릇 뺏길까봐 안다리를 걸겠다는 국회의원들이나 저울에 얹어놓으면 어느쪽으로도 기울지 않을성 싶다.

우선 단체장들에게 한마디 해보자. 9월30일까지 현직을 사퇴하면 1개월, 10월에 사퇴하면 무려 8개월의 행정공백이 생긴다.

누가 책임질건가? 단체장이 사퇴하면 시.군의원이 그 자리에 앉겠다고 또 사퇴-이렇게 되면 연쇄출마 사태로 당장 총선 분위기가 시작도 하기 전에 혼탁해질거다.

돈낭비도 불가피하다.

서민경제가 죽을 지경인 판에 이런 비생산적 사태의 원인제공자가 되겠다는 것인가?

솔직히, 총선을 염두에 두고 단체장에 당선됐다면 공직자의 양식문제도 제기된다.

시쳇말로 '선(先)취업 후(後) 전직(轉職)'식으로 꿩먹고 알먹겠다는 의도가 설혹 있었다면 그건 유권자를 가벼이 본 짓이다.

어느 단체장은 "단체장 포기에 대한 평가는 유권자들이 표로 판단할 문제"라고 변명했지만 능력을 인정해 주는 것과 공직자로서의 기본 양식(良識).덕목의 문제는 별개이다.

이게 어디 법률적으로만 따질 일인가? 지금 출마를 꿈꾸고 있는 대구.경북지역의 알만한 단체장들은 작년 지방선거때, 그때 둘 중 하나를 택일했어야 했다.

한나라당은 더 웃긴다.

행정공백이 그렇게 우려되고 국가적 손실이 엄청나다면 지난해 지방선거 전에 이 문제를 제기, '단체장 임기 절반 미(未)경과시 국회의원 출마제한'이란 규정을 만들든지 말든지 했어야지 왜 이제와서 소란인가? 자기네들 유리한 건 안 고치고 불리한 건 원천봉쇄 하겠다는 꼼수다.

단체장들은 사퇴하려거든 9월전에 일찍하라. 들리는 바, 10월의 보선에서 자신의 비판세력이 당선되면 총선에 불리할까 싶어 '10월 사퇴'로 미룰까 꼼수를 연구중이라고 한다.

참 약은 짓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