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을 정기적으로 줘라
용돈은 적당한 액수를 정기적으로 줌으로써 아이들이 자신의 소비욕구를 조절하고 계획적인 지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저학년의 경우 주단위로, 고학년의 경우 월 단위로 주는 것이 좋으며 이를 통해 계획적인 지출습관을 키우게 할 수 있다.
용돈의 액수는 어느 항목에 얼마가 필요한 것인지 자녀와 의논한 이후에 지출에 합당한 액수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용돈기입장을 쓰게 하라
어린이의 용돈관리 능력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용돈기입장을 기록하면서 꾸준히 학습하게 해야 한다.
용돈기입장은 문구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용돈의 수지(收支)상태를 꾸준히 기록할 수 있도록 부모가 인내심을 갖고 점검을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가 가계부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간접적인 학습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생일잔치는 훌륭한 교육 기회
생일잔치를 하기 전에 아이와 함께 계획을 세우고 예산을 짜면서 그 과정을 함께 해 나가자. 아이와 함께 계획을 세움으로써 제한된 가정의 수입에서 욕망을 억제해 가면서 합리적인 소비생활의 필요성을 이해시킬 수 있다.
▲금융기관을 이용하게 하라
저축은 돼지저금통에 쌓아두기보다는 일정한 액수가 모이면 금융기관을 통해 정기적으로 하고 통장은 부모가 관리하되 가끔 저축 액수가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보상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이자의 원리를 가르칠 수 있으며 아이의 경제에 대한 이해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충동, 과시, 모방 소비예방
초등학교 학생들은 본능과 욕구에 의한 행동이 많기 때문에 물건 구입시 충동적이고 과시적인 구매성향이 높은 편이다.
물건을 살 때는 자녀와 함께 구입의 필요성, 수량, 교육적 가치 등을 신중히 이야기하고 여러 곳의 가격을 조사, 비교한 후 구입하도록 한다.
▲고가품 구입은 전략 필요
자녀들이 고가품을 필요로 할 때는 그냥 사줘서는 안 된다.
차라리 가격의 일부를 분담하도록 자녀에게 요구하는 것이 좋다.
부모가 생각을 해서 그 물건의 필요성에 따라서 20∼70% 범위 안에서 아이들이 부담할 몫을 정해준다.
이렇게 하면 아이들이 그 물건이 그 만큼의 대가를 치르면서까지 가치가 있는 물건인지 다시 한번 스스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성태문(대구은행 연수팀)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