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주식시장은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나 대구.경북 상장법인들은 주가가 하락한 기업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경제가 장기 침체에 빠져 있는데다 상장법인 중 경기가 사상 최악인 섬유업체가 많은 영향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증권거래소 대구사무소가 2일 지역 상장법인 33개사의 올 연초(1월2일)와 상반기말(6월30일) 주가를 조사한 결과 주가가 하락한 기업이 22개사(66.6%)였다.
이에 반해 주가가 상승한 기업은 11개사에 그쳤다.
이 기간에 거래소시장 종합주가지수는 34.76포인트(5.47%) 상승했다.
연초대비 주가가 30% 이상 상승한 기업은 삼립산업 삼익LMS 동해전장 등 3개사였으며 주가가 30% 이상 하락한 기업은 한국합섬 금강화섬 세양산업 우방 새한 등 5개사였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관련 업종인 삼립산업 동해전장 평화산업 세원정공 화신 등의 주가가 20% 이상 상승한 반면 섬유업종인 한국합섬 금강화섬 세양산업 등은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4~4.5%) 이상 주가가 오른 기업은 삼립산업 삼익LMS 동해전장 평화산업 세원정공 화신 포항강판 제일모직 POSCO 등으로 이들 기업은 올 상반기에 주가가 5% 이상 올랐다.
올 상반기말 기준 지역 기업 중 주가가 가장 높은 기업(액면 5천원 환산)은 POSCO(12만4천원)이며 삼립산업(7만3천원) 전기초자(5만5천원) 평화산업(2만6천700원) 포항강판(2만2천200원) 순이었다.
지역 33사 중 22개사가 1만원 미만의 저가종목이며 24개사가 지역 기업주가평균 1만5천104원(액면 5천원 환산)을 하회했다.
평균시장수익률(종합주가지수 상승률 5.47%)을 상회한 기업은 33개사 중 7개사이며 이를 하회하는 기업은 26개로 나타났다.
증권거래소 대구사무소는 "지역 경제가 막다른 골목으로 치달음에 따라 주가가 하락한 기업이 상승한 기업의 두 배에 이른다"며 "특히 주가가 떨어진 기업 중 섬유업체가 많아 빈사상태에 빠진 섬유업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