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자를 활용했던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를 계기로 풋풋한 학생들부터 머리가 하얀 노인들까지 사회 각 분야에서 봉사하는 것을 기쁨으로 여기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외국사전에 고유명사로 올랐다는 우리 '아줌마'들에게도 자원봉사에서 잘 할 수 있는 분야가 있다.
풍부한 자녀 양육 경험과 따뜻한 모성을 활용한 상담자의 역할이 그것이다.
이에 착안하여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1985년부터 학생상담자원봉사제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 대구광역시 교육청에도 320여 명의 학생상담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봉사자들은 60시간의 기초교육과 보수교육을 받은 후 중.고등학교를 주 1, 2회 방문해서 주로 집단상담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 성장을 도와주고 있다.
그리고 남다른 고민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교육과학연구원 상담실에서 개인상담을 해 주기도 한다.
10여 년 전 학생상담자원봉사를 시작한 이래 상담공부가 도(道) 닦는 것과 비슷하다는 것을 느끼면서 그 매력에 푹 빠져든 필자는 요즘 인문계인 A여고와 D중학교에 상담봉사를 나가고 있다.
공부 스트레스가 가득한 A여고 집단원들에게는 답답함을 떨치고 잠시 자신을 들여다보며 미소지을 수 있는 여유를, 또래들과의 경쟁에 힘들어하며 학습도움실에 오는 D중학교 집단원들에게는 칭찬을 많이 해주어 자신감을 북돋우고 있다.
이처럼 학생상담자원봉사자들은 각 학교 학생들의 사정에 맞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서먹해하고 힘들어하던 학생들이 조금씩 마음을 열고 다가오는 모습을 보면서 기쁨과 보람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그 보람을 바탕으로 보다 질 높은 상담활동을 위해 각종 연수에 참여하면서 자기 성장을 추구하기도 한다.
봉사활동을 통해 우리 학생상담 자원봉사자들은 또 다른 자기를 발견해 가는 기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수동적인 삶에서 벗어나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지혜를 깨닫게 된다.
나누고자 했던 봉사활동을 통해 봉사자들이 오히려 많은 것을 얻는 셈이다.
좀 더 욕심을 낸다면, 학생상담자원봉사를 비롯하여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들의 사랑과 헌신들이 지금 각종 분규로 어수선한 사회에 잔잔한 파문으로 번져가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하여 목청 높여 자신만이 옳다고 주장하던 사람들이 한 발 양보하고 이해하면서 사회 갈등의 고리를 풀어가는 살 맛 나는 사회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우리 함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각박한 삶'이 아니라 '주도적인 삶의 아름다움'을 누렸으면 한다.
장혜경 대구 학생상담자원봉사자회 회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