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촬영에서 인물만큼 흥미로운 소재는 없다.
사람은 당연히 사람에게 관심을 갖기 마련. 특히 인물의 표정을 생생하게 담아내는 디지털 카메라 촬영을 통해 인물에 대한 관심을 더욱 키울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다양한 모습의 인물들을 촬영할 수 있는 체계가 잘 갖춰져 인물 촬영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디지털 카메라로 나만의 인물 사전을 만들어보자. 인물 사전 제작 체험을 통해 사람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것은 물론 관찰과 조사, 글쓰기 등 여러가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인물 사전이란=인물 사전이란 인물의 탐구나 소개를 위해 유형에 따라 나름의 기준으로 만든 기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머니라는 인물을 설정하면 어머니의 여러 가지 신상명세를 비롯해서 성격, 취미, 버릇을 기록하고 어머니의 화난 표정, 웃는 표정, 여러 행사 때의 모습 등,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표정들을 촬영해서 디지털 파일에 담는다.
이런 집중 탐구형 인물 사전 외에 성격별로 분류하는 성격 유형별 인물 사전과 특정 인물을 소개하는 소개형 인물 사전, 그리고 앞의 것을 모두 나열하는 복합형 인물 사전도 가능하다.
▲만들기 전에=인물사전은 악의적인 의도로 만들어지거나 누구를 골탕먹이고 앙갚음하기 위한 수단이 돼서는 곤란하다.
인물 사전 만들기는 인물의 탐구를 통해 인간관계 향상, 인간애 탐구, 인물영상 촬영기법 습득 등의 학습적인 목표일 때 최선의 성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반드시 인물 사전을 만든 결과를 공유하는 원칙이 필요하다.
▲어떻게 만들까=어떤 형태로 만들 것인가를 설정한 뒤에는 꾸준한 촬영이 필요하다.
디지털 카메라를 늘 갖고 다니면서 틈틈이 촬영한 것을 디지털 파일에 담아두고 정리한다.
인물 촬영에 필요한 몇 가지를 알아보자. (1)인물의 배치는 과 같은 중앙보다 처럼 화면의 3분의 2 지점에 배치할 때 편안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2)인물사진은 인물의 개성과 인간성까지도 표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려면과 같은 적당한 크기의 촬영보다처럼 목 이상의 클로즈업 촬영으로 인물의 표정이나 개성을 나타내는 것이 좋다.
(3)인물 사진엔 '아웃 포커싱' 기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뒷 배경은 흐리게 하고 인물만 부각시켜 촬영하는 것이다.
수동으로 조리개를 조절해 촬영할 수 있지만 초보자라면 디지털 카메라의 초상화 모드를 이용해 쉽게 찍을 수 있다.
(4)어린이들은 얼굴이 작고, 자주 모습이 변하기 때문에 짧은 거리에서 초점을 맞추는 접사, 연속촬영 모드 등 카메라의 여러 기능을 활용해야 한다.
(5)촬영 각도와 빛에 따라 인물의 모습에 많은 차이가 있다.
높은 각도, 정상 각도, 낮은 각도 등에서 다양하게 촬영하고 빛을 안거나 등지거나 혹은 빛의 옆 등에서 촬영해보면 의외의 멋을 찾을 수 있다.
▲활용 방법과 효과=인물 사전으로 인물에 대한 평이나 일기 쓰기, 편지글 쓰기 등 다양한 글쓰기와 논술 활동이 가능하다.
또 평소 사이가 좋지 않은 인물과의 관계 개선 도구로 작용해 새로운 인간애를 만들 수 있다.
인물사전 만들기가 학생들에게 무엇보다 좋은 것은 사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갖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체험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이다.
(체험교육 컨설턴트)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