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벤처 간담회

입력 2003-01-23 17:25:15

조해녕 대구시장은 21일 대구그랜드호텔에서 지역 첨단벤처 기업인 대표 20여명과 조찬 간담회를 갖고 "지역 첨단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IT·벤처 해외시장 개척단'을 구성해 시가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조 대구시장과 첨단벤처 기업인간에 허심탄회한 '제안'과 '비판', '토론'이 2시간 30분 동안 이어졌다.

다음은 첨단벤처 기업인들의 발언 요지.

△김인환 대공엔지니어링 대표= 대구시의 정책적 지원이 특정 업체들에만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혜택이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좀 더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 기계부품연구원의 설비는 지역업체들이 꼭 필요한 기자재로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박용일 유니빅 대표=지역 부품산업이 업종은 다양한데 질적으로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

때문에 부품의 60%를 서울업체로부터 조달받는 실정이다.

개선이 필요하다.

연봉을 25%나 더 주고 서울에서 인력을 스카우트하고 있다.

지역출신 우수인재들이 지역에서 일할 수 있도록 우수벤처에 대한 홍보에 적극 나서 달라.

△김남주 아이씨코리아 대표= 소규모 벤처들이 소외되고 있다.

시장성 있는 기술력과 제품을 갖추고도 자금조달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은 벤처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보여달라.

△신순희 모든넷 대표= 대구테크노파크,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등 벤처지원기간 간에 정보공유와 협력이 제대로 안된다.

체계화가 시급하다.

△남기수 에스엔에스텍 대표= 경북대는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를 핵심 역량으로 키우는 데 반해, 대구시는 섬유와 기계부품 산업에 중점을 두는 정책을 펴 왔다.

지역 거점대학과 지자체의 산업정책이 앞뒤가 안맞다.

21세기 지식기반 경제시대에는 '인재'가 바로 경쟁력이다.

대구시와 경북대의 전략적 협력이 필요하다.

△김학병 넷블루 대표= 지역시장 규모에 비해 너무 많은 IT(정보기술) 솔루션 벤처들이 넘쳐나고 있다.

해외시장에서 지역 IT벤처들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도록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

△이도희 비즈인포넷 대표= 지원기관에 대한 지역 첨단벤처인들의 반감이 크다.

지원기관이 진정한 서비스 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 달라. 타지역 벤처지원기관들은 지역의 유망한 업체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데 반해 지역의 벤처지원기관은 있는 업체들에 대한 서비스에도 소홀하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