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이나 끌어오던 고속철 대구도심 통과 방식 문제가 또 다시 핫이슈로 재연되고 있다.
건설교통부가 대통령직 인수위에 대구도심구간은 기존 경부선 철도와 나란히 건설하되 대구역 인근의 3.2km만 지하로 하고 나머지는 지상이나 고가로 통과시키는 방안을 유력한 대안으로 보고 함으로써 다시 시빗거리로 떠오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건교부의 안은 아직 교통개발연구원에 의뢰한 고속철 도심 지하화관련 용역 결과가 나오기 전이고 시민공청회와 대구시 협의를 거친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다시 검토돼야 한다.
결국 이렇게 되면 대구도심은 기존 경부선이나 대구선처럼 대구를 양분하는 것을 고착화 시키는 것으로 대구 시민으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이다.
이 문제는 단순한 건설비용에 좌우될 것이 아니라 한 도시의 먼 장래를 내다보고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고속철 도심 통과 방식은 지난 90년 기본 계획 발표 이후 지하화, 지상화, 반지하화를 오르내리며 10여년간 번복을 거듭했다.
건교부는 건설비용에, 대구시민은 도시 백년대계에 중점을 두다보니 팽팽히 맞설 수밖에 없는 실정. 그러나 이 문제는 어차피 내년 4월 서울-대구구간의 개통에 대비해 오는 6월까지는 대구 도심통과 방식을 결정하게 돼 있었다.
이를 위해 건교부는 전문기관에 용역을 맡겨 3월중에 이 용역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시민공청회에 부칠 계획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건교부가 인수위에 자신들의 의견을 조기 보고한 것은 지역민심은 아랑곳 없다는 부처 자만이자 연구기관에 "우리의 뜻이 이렇다"는 식으로 방향제시를 한것과 다름없다.
차제에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문제만은 한 목소리를 내주기를 바란다.
서대구서 동대구역까지 5.8km를 하든 도심 20km를 전부 지하화 하든 용역결과와 지역민심을 잘 조화시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지역 공론으로 내 세워야 한다.
강건너 불보듯 하는 안일한 생각은 버려야 한다.
단결된 힘을 보여 줄 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