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추천종목 등급 간소화

입력 2002-11-19 15:33:00

증권사들이 투자자들에게 배포하는 조사분석자료의 추천종목 투자등급이 간소화되고 투자등급 용어도 쉽게 바뀔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50개 증권사의 조사분석자료를 검토한 결과, 투자등급 세분화 및 어려운 투자등급 용어 사용으로 일반 투자자들의 이해를 어렵게하고 있다며 투자등급 간소화 및 명료화를 유도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금감원은 하지만 증권사들이 투자등급을 간소화하고 용어를 이해하기 쉬운 말로 바꾸지 않을 경우 미국처럼 조사분석자료에 추천종목에 대한 매수·보유·매도 비중을 공시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 경우 증권사들이 다수의 추천종목들에 대해 종전처럼 3~6단계로 애매하게 투자등급을 매기더라도 긍극적으로 매수, 보유, 매도를 추천한 종목의 비중이 각각 얼마인지를 조사분석자료에 게재해야 한다.

이와함께 금감원은 다음달부터 자체 홈페이지(www.fss.or.kr)와 증권사 홈페이지 등에 증권사의 조사분석자료를 이용할때 유의해야 할 점을 소개하는 코너를 만드는 등 투자자 교육프로그램도 시행키로 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대부분의 증권사(조사대상 98%)들이 조사분석자료에서 수익률(지수대비)과 예측기간을 기준으로 3~5개 단계의 투자등급을 사용하고 있고 6단계를 쓰는 증권사도 있었다.

또 'OUT PERFORM(시장수익률 상회)', 'MARKET PERFORM(시장수익률 평균)', 'UNDER PERFORM(시장수익률 하회)', 'IN-LINE(시장수익률 평균)' 등 어렵고 애매한 투자등급 용어가 추천의 책임 회피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됐다.

이외에 같은 투자등급이라도 증권사별로 적용 기준이 다르고 예측기간도 주로 6개월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3개월, 12개월, 6~12개월, 12~18개월 등 천차만별인 것으로 드러났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