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분 에너지사업 무산위기

입력 2002-11-19 00:00:00

군위축협 비료공장이 전국 최초로 벌이고 있는 가축 분뇨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시설 설치 사업이 감사원 감사에서 효율성 등 문제점을 지적받아 백지화 위기를 맞고 있다.

군위축협은 지난 2000년부터 산업자원부 시범사업으로 13억원을 지원받아 17억3천500만원을 들여 군위군 군위읍 외량리 군위축협 비료공장에 돼지분뇨 1일 50t을 처리해 대체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이었다.

이번 사업은 돼지의 액상 분뇨를 발효증발 시스템을 이용, 에너지와 양질의 유기질 퇴비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으로 폐수 방류가 전혀 없어 수질오염의 근본적 방지책으로 손꼽혔다.

이 사업으로 축협은 연간 5천여만원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양돈농가는 연간 9천여만원의 축산분뇨 처리 비용을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둬 축산이 환경친화형 에너지 기여 산업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감사원은 최근 군위군 종합감사에서 △축협에 대한 국비와 군비투입은 법령 위배 △시설 유지관리의 문제점 △효율성이 검증 안된 기술에 17억원 투입은 예산낭비 △소요사업비 추가에 대한 재원 확보책 전무 등 문제점을 지적했다.

감사원은 사업 포기 후 국비 13억원을 국고에 반납 조치하라고 지시했다.축협 김진열(43) 조합장은 "산자부의 시범사업을 군위군 감사를 통해 포기토록 하는 것은 횡포"라며 "시범사업을 가동해 보지도 않고 실효성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군위양돈협회 정장규(48·군위군 효령면) 회장은 "양돈농가의 모든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사업을 백지화하다니 이해할 수 없다"며 "군내 7만5천여마리 돼지가 연간 24만여t의 축산폐수를 배출하는데 앞으로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군위군 관계자도 "감사원 지적에 따라 사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며 "축산농가의 불만해소를 위해 축분비료 생산비 지원확대와 열풍기·축산분뇨방지용 톱밥·축산분뇨처리시설 등 각종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군위·정창구기자 jcg@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