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기본.기초과정으로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 중요하다.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단계는 학자들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여기서는 폴리아(Polya.1954)가 권고하는 문제해결 4단계(이해-계획수립-계획의 실행-반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그림1 삽입〉
(1)1단계:문제 이해하기=주어진 수는 어떤 수들인가? 한 변에는 ㅇ이 몇 개씩 있는가? 세 수의 합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각 숫자는 몇 번씩 사용할 수 있는가?
(2)2단계:해결계획 수립하기=이 단계는 어떤 전략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여러 가지 해결 전략 중에서 가장 적절하면서도 효율적인 전략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에는 '그림을 그려서 해결하기', '표를 만들어서 해결하기', '규칙성을 찾아서 해결하기', '예상하고 확인하여 해결하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전략이 떠오르지 않을 경우 흔히 사용하는 전략이 '예상하고 확인하기 전략'이다. 이 전략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자.
이 전략은 먼저 '해답이 얼마일 것이다'고 예상한 후 답이 맞는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만약 답이 틀리면 처음 예상한 것을 수정해 다시 답이 얼마일 것이라고 예상해 보고 그 예상이 맞는지를 확인해 보는 일을 반복해야 한다. '예상하고 확인하기' 전략에서 예상하기는 아래와 같은 3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3)3단계:계획 실행 〈그림2 삽입〉
△첫번째 접근=임의로 예상하고 확인하기
1)주어진 숫자는 1, 2, 3, 4, 5, 6이며, 삼각형의 각 변에 있는 세 수의 합은 반드시 12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고, 종이를 6장 찢어서 1~6까지의 숫자를 쓰고 배열해 본다.
2)그림에서 제시된 정삼각형 모양으로 종이를 배열하고 합을 계산해 보자. 세 수의 합이 12가 될 때까지 다시 배열해 보라.
△두 번째 접근=체계적으로 예상하고 확인하기
1)숫자를 임의로 옮기는 것보다 가장 작은 수 즉 1, 2, 3을 모서리에 놓고 시작해 본다. 만약 세 수의 합이 12가 되지 않으면 숫자를 1, 2, 4 등으로 바꾸면서 시도해 본다.
2)숫자 1, 2, 3을 모서리에 놓으면 각 변에 있는 세 숫자의 합이 너무 작게 된다. 1, 2, 4도 마찬가지이다. 1, 2, 5와 1, 2, 6을 시도해 보자. 각 변의 합은 여전히 작다. 답이 발견될 때까지 2, 3, 4와 2, 3, 5의 순서로 시도해 본다. 모서리에 4, 5, 6을 놓고 시작해서 3, 4, 5 등을 시도해 볼 수도 있다.
△세번째 접근=추리에 의해 예상하고 확인하기
1)1은 반드시 모서리에 있어야 한다는 가정에서 시작해서 결과를 조사해 본다.
2)처음으로 숫자 1을 모서리에 놓아보자. [그림 1]처럼 숫자 1이 모서리에 놓이게 되면, 나머지 5개의 숫자 중에서 합이 11이 되도록 두 개의 수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 2, 3, 4, 5, 6 중 어느 두 수의 합이 11인 것은 오직 6+5=11뿐이다. 그러므로 1은 모서리에 올 수 없다.→이번에는 숫자 2를 모서리에 놓아 보자.
그러면 [그림 2]처럼 되며 이 때 남아있는 숫자 중에서 합이 10이 되도록 두 수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 어느 두 수의 합이 10인 것은 오직 6+4=10뿐이다. 그러므로 숫자 2를 모서리에 놓을 수 없다.→이번에는 숫자 3을 모서리에 놓아보자. 그러면 [그림 3]처럼 된다.
그러나 나머지 숫자 중 어느 두 수의 합이 9인 것은 오직 5+4=9뿐이다. 따라서 모서리에 숫자 3을 놓을 수도 없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숫자 1, 2, 3은 모서리에 놓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에 놓을 수 있는 숫자는 4, 5, 6이다.→숫자 4, 5, 6을 모서리에 놓아 보자.
그러면 [그림 4]처럼 숫자 5와 6사이에 1을 놓고, 4와 6 사이에 2를 놓고, 4와 5 사이에 3을 놓게 되면 답을 구할 수 있다.
(4)4단계:반성.검토하기
1)검토하기:3가지 다른 방법으로 '예상하고 확인하기' 전략을 사용해 이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살펴보자. '임의로 예상하고 확인하기'는 처음 시작할 때 자주 사용하나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며, 그 횟수가 많으면 앞서서 시행한 것을 잊어버리기 쉽다.
'체계적으로 예상하고 확인하기'는 시행한 모든 경우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좋다. 일반적으로 '추리에 의한 예상하고 확인하기'는 시간을 절약하고 가능한 해답에 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앞의 두 가지 방법보다 더 좋다.
2)반성하기:학생의 학습활동에 대한 결과물을 반성.검토해 보는 일은 성공적인 문제 해결의 중요한 단계이다. 학생들의 문제 해결과정에 대해 반성.검토하는 일로서 △가장 효과적인 전략을 활용하였는가? △계산 과정과 계산 결과가 올바른가? △문제 해결에 사용된 자료가 옳은가? △주어진 정보를 빠짐없이 활용하였는가? △또다른 적절한 전략은 없는가? 등에 대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남승인(대구교대 영재교육원 수학부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