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저축률 뚝

입력 2002-10-24 15:55:00

저소득층과 20대의 저축률이 크게 떨어져 저축률 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지적됐다.23일 한국은행의 '저축률 변화와 요인'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득 가운데 소비한후 남은 저축의 비중인 저축률은 26.9%로 85년(26.6%) 이후 17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가계의 저축률은 지난 98년 26.6%로 일본(17.7%)과 대만(16.9%)보다 높았으나 99년에는 그 격차가 좁혀졌고 2000년에는 일본(16.3%)과 대만(16.1%)에 비해 0.7~0.9% 포인트 낮은 15.4%로 뒤처졌다.

특히 저소득층은 저축률이 -3.4%를 나타내 소득보다 소비가 더 많아 차입했거나 과거의 저축을 썼던 것으로 추정됐다.저소득층의 저축률은 99년 -4.9%를 기록한 후 2000년 -2%로 축소됐으나 2001년 -2.3%로 다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고소득층은 99년 36.3%에서 2000년 34.4%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36.2%, 올해 상반기 36.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이에따라 외환위기후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저축률 차이는 계속 확대돼 올 상반기 39.5%포인트에 이르렀다.연령별로 볼 때 25~29세의 저축률은 97년 34.1%에서 올 상반기 23.9%로 10.2% 포인트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또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격차는 5배에 이르렀지만 소비는 상위 20%와 하위 20% 차이가 2.7배여서 소득수준에 비해 소비수준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축률 하락은 주택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내집 마련을 위한 저축의 필요성이 줄었고 금리가 떨어지면서 언제라도 돈을 꿀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데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