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작업장 문 닫으면 우린 어떻게...

입력 2002-10-14 15:03:00

"문 닫을 위기에 처한 장애인 재활작업장을 도와주십시오".달성군 지체장애인 지회장 정우선(48)씨는 지난해 12월에 개장한 달성 장애인 재활작업장이 만성 적자로 폐쇄 위기에 놓였다며 발을 구르고 있다.

작업장 대표를 맡고 있는 정씨는 "장애인 재활 의지를 북돋아 주기 위해 달성군이 1억6천여만원을 들여 작업장을 마련해 줬으나 자금력 부족으로 적자에 허덕여 더이상 운영할 여력이 없다"고 한숨을 몰아 쉬었다.

중증 장애인 10여명을 포함 35명의 장애인들이 단순노동으로 전자부품을 임가공하는 이곳의 월 순수익은 겨우 450여만원. 그런데도 이들에게는 급여로 월 1천200여만원을 지급해야 해 단순계산으로도 매월 750만원의 적자를 보고 있으며, 산재.고용보험료 등을 합치면 적자 폭은 더 늘어난다는 것.

정씨는 "정부에서 적자분을 100% 이상 지원하는 장애인 고용장려금에 기대를 걸었으나 지난달부터 장애인고용촉진법 개정으로 최저임금(52만원) 미만의 장애인 사업장은 적자분의 60%선밖에 지원되지 않게 됐다"며 눈앞이 캄캄하다고 했다. 그나마 나올 정부지원금조차 연말이나 돼야 손에 쥘 수 있는데 당장 필요한 자금 융통이 어려워 그때까지 꾸려나갈 길이 막막하다는 것.

"역내 장애인들의 유일한 일터인 이 작업장의 존망이 달린 문제인 만큼 달성군에서 재활작업장 설치조례를 만들어 운영비 지원 방안을 마련해 주면 좋겠습니다".이에 대해 달성군청 박경식 사회복지과장은 "작업장 설치 조례를 제정하는 등 운영비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달성군은 작업장을 만든 뒤에도 사용 승낙이나 위탁운영 등의 절차도 밟지 않는 등 지금까지 별다른 행정 지원을 해 주지 않아 당장에는 지원하려해도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