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국제통화 지정 가능성

입력 2002-10-10 14:19:00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이 오는 27일 가동되는 지급결제은행(CLS: Continuous Linked Settlement) 가입을 추진중이다.

이로 인해 원화도 국제통화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

10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민.외환은행은 전세계 외환거래의 동시결제를 위해 설립된 CLS 가입을 추진키로 하고 사업성과 기대효과 등을 검토하고 있다.

CLS은행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출자금 59억원을 납부해야 하고 이와 별도로 전산시스템 구축에 36억~48억원이 소요된다.

한국은행도 두 은행이 CLS 가입방침을 결정하면 원화를 CLS은행 결제통화로 지정해주도록 요청하는 공문을 CLS측에 보낼 예정이다.

CLS은행은 외환거래 과정에서 국가간 영업시간대의 차이로 인해 매도통화는 지급했지만 매입통화(달러)를 받기전에 거래상대방의 파산으로 지급이 불가능해지는 리스크를 막기위해 국제결제은행(BIS)의 권고로 99년 뉴욕에 설립됐다.

CLS은행은 전세계 17개국 67개 대형 금융기관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첫 결제통화는 미 달러, 유로, 영국 파운드, 일본 엔, 스위스 프랑, 캐나다 달러, 호주달러 등 7개 주요 통화이며 내년에 싱가포르 달러 등 4개 통화가 추가될 예정이다.

최신 기사